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옥희 신임 교육감은 "한 명의 아이도 소외되지 않는, 배제·차별·낙오가 없는 교육을 실현하겠다"고 약속했다. 학생 스스로 삶을 일구어나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교육의 역할이고, 학교와 교사가 그런 역할을 잘할 수 있도록 교육청과 교육감이 지원할 것이란 다짐도 신뢰가 간다.

노 교육감은 수학교사였고 교육위원을 지냈다. 교육민주화선언으로 해직됐고 전교조 울산지부장 등을 지내며 참교육에 매진하기도 했던 교육자다. 노 교육감을 조금 아는 기자는 그의 흔들리지 않는 교육철학과 확고한 신념 그리고 실천력과 진정성을 믿고 있다. 

기자는 일부에서 제기하는 노선의 급진성도 염려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 그는 언제나 합리적인 대화를 하고 경청하는 자세를 보여왔다. 비판적인 자세를 견지하고 있지만 그것은 올바름과 그름에 대한 그의 선택이었다. 급격한 정책 변화에 따른 교육현장의 혼란이란 우려 또한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교육행정에 대한 신뢰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개혁해야 할 지점을 신중하고 안정적으로 혁신해 가겠다는 계획을 밝혔으니 그대로 믿어도 괜찮다고 본다.

그런데 말이다. 선거가 끝나고 선관위 홈페이지에 나온 공약과 공보물을 다시 보니 무상교육 등 학생과 학부모에 대한 공약이 대부분이었다. 전국의 진보교육감과 대동소이했다. 그러나 그의 공약 중에 교권 관련 공약은 찾을 수 없었다.

학부모·학생과 함께 교육 주체인 교사를 위한 정책은 어디 갔을까. 더구나 교권 침해가 도를 넘고 있는 요즘의 학교를 생각하면 더욱 그런 의구심이 든다. 교권 침해는 교실 붕괴로 이어져 그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들에게 돌아간다. 그러니 교권 확립은 아이들을 위해 꼭 필요하다. 그런 까닭에 기자는 노 교육감에게 교권 확립, 교권 보호를 위한 정책 추가를 권한다. 학생인권만 강조하다 보면 자칫 교권은 추락하고 소홀한 대접을 받으면서 교육의 질이 떨어질 수도 있다.

물론 교사들이 교육에만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는 노 교육감 약속에는 넓게 교권도 포함된 것을 짐작하지만 좋은 교육, 원활한 공교육을 보장하는 '교권'정책을 좀 더 구체화했으면 한다. 선생님이 행복해야 학생이 행복해진다. 교사가 행복하면 학교가 달라진다. 교원평가에 학생인권만 강조하는 교실, 잡무에 지친 선생님이 어떻게 행복한 교실을 만들며 그런 상태의 선생님과 지내는 아이들이 어떻게 행복해질 수 있겠는가.

교육감은 아이들의 미래를 책임질 사람이다. 더욱이 그 권한은 예산, 인사, 정책에 걸쳐 '울산의 교육 시장'이라 할만큼 막강하다. 이 모든 권한과 책임을 잘 수행하기 위해선 교육감의 교육철학과 정책이 가장 바탕이 되고 정의로와야 한다. 그것이 울산 교육의 길을 정하고 이끄는 방향타가 되기 때문이다.

학창시절, 나는 늘 학교에 가고 싶었다. 친구도 있었지만 늘 새로운 것을 가르치며 칭찬하는 선생님이 있어서다. 도시 이야기도 듣고 운동장 고르기나 화단 조성 등 근로를 함께하고 어린이 잡지를 읽으며 풍금소리 듣는 것이 낙이었다. 작은 산골학교의 우리 교장 선생님은 늘 면(面)지역 어른이었고 VIP였다. 면장·지서장, 양조장 사장이나 육성회장, 농수협조합장 등 면의 여러 장(長)이 많았지만 모두 교장 선생님께 먼저 인사드리고 상석에 모셨다. 지역에서 교장과 우리 선생님이 가장 존경받는 어른인 줄 알았다. 학교는 면에서 가장 큰 집이고 가장 훌륭한 분들이 계신 곳이었다.

어쩌면 그런 학교에서 인생의 절반을 배웠는지도 모른다. 필자가 지금도 덕체지와 효·충, 사랑과 배려심을 조금 알고 실천한다면 그것은 오롯이 학교에서 배우고 체득한 결과다. 교권은 그렇게 자연스럽게 우리 생활에 스며들어야 한다. 추락하는 교권을 바로 세우고 다시 존경받는 선생님을 만드는 풍토를 위해 새 교육감이 솔선했으면 한다. 이미 시작된 노 교육감의 현장 행보를 보면서 교권에도 조금 더 관심을 기울였으면 하는 바람을 전한다. 선생님이 행복한 학교, 학생이 행복한 학교. 늘 가고 싶은 학교를 만들었으면 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