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들어 울산의 인구감소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가운데 전국에서 가장 가파른 인구 감소세 뒷받침하는 통계치들이 무더기로 쏟아져나오고 있다. 인구 감소가 조선·자동차산업의 장기불황과 맥락을 같이하고 있지만 이들 주력산업의 침체기가 길어지고 있는 만큼, 인구 절벽에 대비한 별도의 행정적 뒷받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 사망자 상승률도 전국 최고
인구 증감의 1차적 지표가 되는 연간 출산율은 올들어 낙폭을 키우며 브레이크 없는 하락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이 때문에 지난해 사상 처음 1만 명대 아래로 주저앉은 울산의 연간 출생아수는 올해 9,000만 명대까지 내려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실제 동남지방통계청이 집계한 지난 5월 말까지 울산의 출생아 수는 3,600명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4,200명보다 600명(14.3%)이나 줄어든 규모로, 5월 누계 기준으로 볼때 역대 최저치다.

울산에서 관련 통계가 처음 작성된 해인 2015년(1~5월)에는 5,100명, 이듬해인 2016년(1~5월) 4,900명이었던 이력과 비교할 때 3년 전보다 출생아수가 1,500명이나 줄어든 것이다. 울산의 매월 출생아수는 2016년 1월부터 29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왔다.

반면 사망률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이면서 인구감소를 부추겼다. 올들어 5월 말까지 울산의 사망자수는 2,4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100명에 비해 14.3%나 늘어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고령화단계에 진입하면서 지난 3년간 큰 병동이 없던 사망률이 올 1월 들어 역대 최대치인 20% 급상승한 뒤 5달간 연속 두자릿수 증가율을 보여온 결과다.

출생아 수의 선행지표인 혼인건수도 올들어 5월말까지 2,50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0건(10.7%)이 줄었다. 혼인건수 감소율은 전국 평균 3.3%의 3배 이상을 웃돌며 전국 최고치를 기록했다. 울산의 5월말 기준 혼인 건수는 지난 2015년 3,100명, 2016년 3,000명 2017년 2,800명 등으로 지속적인 감소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 이혼 건수는 늘었다. 올들어 5월 말까지 울산의 이혼 건수는 1,100건으로 2016년 1,000건을 넘어선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5월말 누계 기준 이혼 건수는 2015년 900건, 2016년 1,000건, 2017년 1,100건 등이다.

# 올 2분기에만 3,366명 순유출
엎친데 덮친격으로 타지역으로 빠져나가는 '울산 엑소더스'까지 심화되고 있다. 울산에서는 올 2분기 동안 무려 3,366명이 빠져나가 -1.2%의 순이동률을 기록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97년 이후 가장 큰 폭이다. 같은 기간 울산으로 전입한 인구는 3만 538명에 불과한 반면 전출한 인구는 3만 3,904명에 달했다.

2016년 6월만 해도 500명에 그쳤던 순유출 인구는 경기가 추락하기 시작한 같은해 12월 1,000명대까지 늘어났다. 또 조선업 불황이 급격화하기 시작한 지난해 2월 들어 2,000명까지 급증하며 정점을 찍은 후 내려올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인구보건복지협회울산지회 관계자는 "경기 침체로 인해 실업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혼인 건수 또한 감소하면서 자연스레 저출산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데다 젊은 인구가 울산을 떠나는 안타까운 현상까지 겹치고 있다"고 말했다.

# 시, 출산·보육친화도시 조성 추진
상황이 이렇다보니 저출산 인식 개선 및 가족친화적 출산·양육문화의 저변을 확대하는 등 별도의 인구정책을 동원해 출산율이 경기 변동에 좌우되지 않도록 해야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울산시는 지난해까지 교육 및 일자리창출 인프라 확충을 중심으로 이어왔던 인구감소 대응방안을 기업 환경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고 베이비 부머의 안정적 정착 지원을 강화하는 쪽으로 바꾸겠다는 의지다. 그러면서 출산·보육친화도시 조성을 기본전제로 두고 인구 감소폭을 줄여나겠다는 방침이다.

시는 기업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30년까지 원전해체연구소, 국립3D프린팅연구원, 한국조선해양미래산업연구원 등 산학연 연구기관을 설립할 계획이다. 또 은퇴자 맞춤형 주택단지 등을 새로 조성해 베이비 부머의 이탈을 막겠다는 방안이다. 그러면서 그동안 이어온 각종 출산지원금을 강화하고 젊은층 주건안정 지원, 미혼남녀 만남의 장 활성화 등을 병행하겠다는 의지다.

울산시 정책기획관실 관계자는 "인구감소 현상이 사회구조 요인과 복합적으로 연결돼 있다보니 그동안 다양한 인구정책을 가동해왔지만 아쉽게도 문제를 해소하지 못했다"며 "인구 감소의 직접적 원인인 일자리 창출에 여전히 역점을 두되, 앞으로는 저출산이나 주택, 산업 등 원인별 직·간접적 요인도 선별해 관리하는 등 다각도로 대응해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하주화기자 usjh@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