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재창 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 본부장은 "무등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후 오히려 사유지 가치가 높아졌다"고 말했다.
이재창 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 본부장은 "무등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후 오히려 사유지 가치가 높아졌다"고 말했다.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후 사유지의 가치도 높아졌습니다."

이재창 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 본부장은 18일 이같이 밝혔다. 지난 1987년부터 무등산 보호운동을 해왔던 그는 지난 2013년 광주 무등산이 전국 21번째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는 데 힘을 보탰다.

그는 "무등산은 도심과 인접해 있어 각종 개발을 통해 훼손하려는 시도가 잇따랐다. 보호운동 과정에서 이 같은 훼손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국립공원을 추진하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했다"며 "다행히 2010년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단체장이 이 제안을 받아줬고, 국립공원 지정으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국립공원 추진 과정에서 주민들의 반발도 심했다고 했다. 분신을 하겠다는 주민들이 있을 정도였다. 주민들은 도립공원으로 지정돼 재산권의 침해를 받아왔는데 국립공원이 되면 제제가 더 늘어난다는 게 반대 이유였다.

그는 "무등산은 전체 면적의 70% 이상이 사유지로 되어 있어 국립공원 지정에 있어서 주민들을 설득하는 게 중요했다. 하지만 또 하나의 규제가 생기는 것은 오해고 국립공원이 되면 오히려 자산의 가치가 상승한다고 설득했다"고 설명했다.

국립공원 후 실제로 사유지의 가격은 30%가량 상승했고, 국립공원에서 제외됐던 무등산 자락의 한 마을은 최근 국립공원에 마을을 포함시켜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이 본부장은 국립공원 지정 이후 도립공원이었을 때 보다 훨씬 더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지고 있다고 했다. 그는 "도립공원이었을 당시 도립공원관리공단에는 13명의 공무원이 근무를 했다. 지금 무등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에는 190여 명의 인원이 직·간접 종사자들이 근무하고 있다"며 "관련 예산도 증가하면서 편의시설 등도 대폭 확충됐다"고 말했다.

관광객도 30%가량 증가했다. 무등산은 지난 2013년 국립공원 승격 이후 5년 만인 지난 6월 탐방객이 2,000만 명을 넘어섰다. 지정 첫해 396만여 명을 시작으로, 매년 350만~380만 명이 무등산을 찾고 있는 것으로 22개 국립공원 가운데 네번째로 많다.

그는 "이 외에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막대한 홍보 효과를 누렸고, 매년 사유지를 매입하는 사업도 이뤄지는 등 도립공원이었을 때보다 장점이 훨씬 많다"면서 "영남알프스도 국립공원 지정을 추진하려면 주민들과 지역 사회에서 이런 장점을 설명하고 설득하는 과정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창훈기자 usjch@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