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송철호 시장이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사업'이 탄력을 받고 있다. 정부와 울산시가 추진하는 △시스템 개발 △풍력단지설계 △해상풍력기 제작기술 국산화 및 실증사업과 국내·외 민자 방식으로 추진되는 풍력단지 조성 사업 등 이른바 '투 트랙' 전략이 본격 추진되면서 밑그림이 그려진 상태다. 울산을 부유식 해상풍력산업 수출전진기지로 육성하고 기술개발·제작생산·운영지원과 인력양성 등 전 주기를 아우르는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것이 울산시의 목표다.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사업에 대한 기획으로 (상)부유식 해상풍력 투 트랙 전략과 (하)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사업의 기대효과와 과제를 나눠 싣는다. 편집자 주

# 200MW∼1,000MW 규모 단지 조성
산업자원부 공모사업으로 울산시는 '부유식 해상풍력'을 낙점받았다. 부유식 해상풍력은 40m 이상의 수심과 연중 일정한 8m/s의 풍속을 필요로 하는데 울산 앞바다의 자연조건이 부합했다. 

울산의 조선해양플랜트 산업 기술과 인력을 활용, 부유식 해상풍력산업을 육성해 혁신성장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것이 울산시의 추진 방향이다. 울산과 58km 떨어진 동해가스전 플랫폼을 활용할수 있다는 점도 큰 이점이다.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울산시는 '투 트랙' 전략을 짰다. 정부와 울산시가 하나의 사업을 추진하고, 국내·외 관련 기업들이 민간투자로 또 하나의 풍력 발전 사업을 동시에 추진한다는 것이다. 

# 조선해양플랜트 산업 기술·인력 활용
울산시는 정부와 함께 5MW 중형·대형 풍력시스템을 개발하고 200MW 풍력단지의 설계, 해상풍력기 제작기술 국산화 및 실증사업을 추진한다. 투자를 희망하는 국내·외 기업들은 울산시의 행정 지원을 받아 200~1,000MW 규모의 풍력단지를 조성하게 된다. 

정부와 울산시가 주도하는 부유식 해상풍력사업의 골자는 국산화 기술개발이다. 관련해 3가지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우선 750kW급 부유식 중형 해상풍력 파일럿 플랜트 1기를 개발하고 있다. 관련 기술력을 확보하겠다는 것이 사업의 핵심인데 160억 원을 투입하고, 완성되면 서생면 인근 해상에 설치한다. 

이와 동시에 5MW급 부유식 대형 시스템의 설계기술 개발에도 착수했다. 풍력터빈·부유체 후보군 선정 및 경제성 분석, 계통연계 방안, 발전시스템 설계기술 개발 등이다. 사업비는 52억 원이 투입된다. 동해가스전 인근에 200MW급 해상풍력 실증단지에 대한 설계 기술 개발도 진행중이다. 후보지의 풍황과 전파 영향도를 조사·평가하고 기본설계와 O&M 방안, 지역상생모델 개발이 시작됐다. 

전경술 울산시창조경제본부장은 "트랙 1은 정부와 울산시의 주도로 국산화 기술개발을 핵심으로 하는 사업"이라며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단지 건설을 위한 기반 시설과 기술 확보가 목표인 셈"이라고 설명했다.  

# 지역 혁신성장 일자리 창출 목표
민자유치를 통한 부유식 해상풍력단지 조성이 트랙 2다. 울산이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사업을 위한 천혜의 자연 조건을 갖추고 있고, 울산시의 적극적인 행정 지원이 약속된 만큼 전 세계 관련 기업들의 관심이 뜨겁다. 

울산시는 지난 22일 까지 관련 기업들에게 사업 설명서 제출을 요청했고, 총 8개 회사가 컨소시엄 형태로 사업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국내기업인 SK E&S가 COP와 컨소시엄으로 울산 사업계획을 수립했다. GIG는 울산부유식해상풍력㈜와 컨소시엄해 라이다 설치를 위한 공유수면 점·사용허가를 1곳 받았고, 2곳을 신청한 상태다. PPI는 한국 내 자회사인 WPK와 합작으로 라이다 설치를 위한 공유수면 점·사용허가 신청을 받았다. COENS(한국법인)는 Hexicon과 함께 세계적인 합작 투자사와 접촉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시는 오는 29일 민간투자사 간담회를 통해 사업계획을 발표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언론 공개)하고 다음달 중 시민설명회나 의회 산건위 보고, 에너지위원회 보고 등의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올해 말 이들 중 희망 또는 선정된 업체와 투자협약을 체결한다는 방침이다. 

투자협약 내용은 울산시가 각종 행정 지원을 약속하고, 업체들은 생산 기반의 지역 콘텐츠 활용, 주민수용성 확보, 이익공유 방안 검토 등을 함께 고민하는 내용이다.  김지혁기자 uskjh@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