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맑은물 공급을 장기 과제로 추진해온 울산의 물문제가 부산 해수담수화 시설의 타결로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됐다. 부산시는 지난 2009년 완공한 이후 애물단지로 전락한 해수담수화 시설을 공업용수로 이용하는 쪽으로 결론을 내렸다.

먹는물 전용으로 이용하려던 계획을 전면 수정한 셈이다. 부산의 해수담수화 시설이 100% 공업용수로 전환하기로 한 것은 울산의 맑은물 공급 계획에 대 전환점을 가져다 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같은 결정이 현실화 될 경우 기장에서 온산공단까지 관로 설치문제와 공업용수 공급 가격에서 울산시가 부담해야 하는 부분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실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산자부와 전기요금 감면 협의 등 추진
18일 부산시와 수자원공사 등에 따르면 기장 해수 담수화 시설에서 생산된 물을 공업용수로 공급하는 내용으로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 두산중공업 등과 '기장 해수 담수화 시설 정상화를 위한 협약(MOU)' 체결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검토 중인 협약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기장 해수 담수화 시설에서 생산된 하루 4만 5,000톤의 물을 고리원자력발전소 냉각수로 1만 톤, 나머지를 울산 온산공단을 비롯해 원전 주변 지역 산업시설에 공업용수로 공급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3만여 톤의 공업용수가 온산공단으로 보내지는 것이 실현된다면 엄청난 호재다.

이와 관련 두산 측이 현재 가동이 중단된 해수 담수 시설을 재가동해 담수를 생산하면 수자원공사가 광역상수도망을 통해 공업용수를 산업단지에 공급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계획이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1,000억 원으로 추산되는 광역상수도망건설과 적자운영에 따른 시설 운영비 등을 어느 기관에서 얼마나 부담할 것인가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다.

부산시 관계자도 "공업용수 공급을 위해서는 가장 큰 문제인 광역상수도망 건설비와 운영비 등에 대해 누가 얼마나 부담할 것인가에 대해 시와 수자원공사가 협의가 안 된 상태"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해수 담수화를 공업용수로 공급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이 비싼 생산단가"라며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해수 담수화 시설 운영비 절반을 차지하는 전기요금 감면 방안을 두고 산업통상자원부와 협의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주 서울에서 부산시,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두산중공업, 한국수력원자력 등이 참여하는 회의를 열고 협의를 할 것으로 알려졌다.

# 정부 적극 지원 따라야 실현 가능
울산시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울산의 맑은 물 공급 사업은 근본적으로 환경부 수도정비기본계획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데 현재는 운문댐이나 영천댐 물을 끌어쓰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며 "해수 담수화 시설에서 공업용수를 공급 받기까지 많은 시간과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실현 가능성을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또 "현재 원동 취수장에서 울산에 공급하는 물은 하루 120만 톤 가량으로 이 중 80%가 공업용수인데, 3만 톤을 따로 공급받는 것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도 면밀하게 따져봐야 할 일"이라고 덧붙였다.

기장 해수 담수화 시설은 2009년부터 국비 823억 원, 시비 425억 원, 민자 706억 원 등 총 1,954억 원을 들여 지난 2014년 완공됐다. 하루 수돗물 4만 5,000t을 생산, 5만 가구에 공급할 수 있고 역삼투압 방식 담수화 시설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 고리원전과 11㎞ 떨어진 곳에 있는 기장 해수 담수화 시설은 방사능 오염 논쟁, 시설 소유권 해석, 운영비 갈등 등이 겹치면서 지난해 1월 1일부터 가동이 전면 중단됐다.  김지혁기자 uskjh@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