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한폭탄으로 불리는 울산과 온산공단에서 지난 주말 또 폭발 사고가 났다. 이번에는 폐기물 업체의 사고지만 여전히 주민들은 불안한 주말을 보냈다. 지난 11일 오전 11시 21분께 울산시 울주군 온산읍의 한 폐기물 처리업체에서 폐드럼통이 폭발하면서 화재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작업 중이던 굴착기 운전자 A 씨가 중상을 입고 인근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

불은 공장 일부와 굴착기 등을 태워 소방서 추산 1,200만 원 상당의 재산피해를 내고 30여 분 만에 진화됐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이동 작업 도중 폐드럼통이 폭발한 것으로 보고 업계 관계자들을 상대로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다. 

이번 사고는 새벽시간에 발생한 사고치고는 피해가 적었지만 안심할 일이 아니다. 울산과 온산공단에는 폐기물업체는 물론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공장과 산단이 즐비해 있다. 이 때문에  폭발, 가스누출 등 안전사고가 끊이질 않으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지난해 말에는 울산시 남구 석유화학공단 내 코오롱인더스트리 울산공장에서 탱크 유증기가 폭발해 근로자 3명이 다쳤다. 사고가 난 공장은 정기보수 기간이었다. 이 사고는 탱크에 일부 남아 있던 유증기 압력이 상승하면서 폭발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비단 이 사고만이 아니라 27개의 유형별 산업단지에 100여 개의 공장이 들어서 있는 울산에선 매년 폭발과 가스누출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해의 경우 한솔케미칼 폭발사고, 지난 9월 덕양케미칼의 가스 누출 사고 등 각종 사고가 이어졌다. 울산산업단지에선 최근 5년간 이 같은 화재·폭발사고가 188건 발생했다. 평균 9.7일에 한 번꼴로 사고가 이어진 셈이다.

최근 몇 년간 이어진 산단 내 화재·폭발 등 치명적 사고는 시민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있다. 여기에 지난해에는 염포부두에 정박해 있던 2만5,881t급 케이맨 제도 선적 석유제품운반선인 '스톨트 그로이란드'호에서 대규모 폭발사고가 발생, 산단뿐 아니라 울산 전체가 화학·폭발사고에 노출돼 있음을 상기시켰다. 이에 현장 근로자들은 물론 지역 주민들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가 시급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문제는 울산의 경우 폭발사고 유형이 다양하다는 사실이다. 화학공장 사고를 우려하던 울산시민들은 자고 나면 폐기물 업체 폭발에 선박 폭발까지 혼란에 빠지고 있다. 화학물질 취급공장이나 선박은 사고가 터졌다 하면 대형인 경우가 많다. 상당한 인명과 재산피해로 이어지기 십상이다. 폭탄이 터지는 듯한 화학공장 사고는 해마다 우리나라를 할퀴고 가는 태풍보다도 피해가 더 심한 것으로 추산된다. 또 화학공장들 중 상당수가 민간 주택가와 인접해 있다는 것은 더욱 큰 문제다.

문제는 최근 화학공장 사고가 불특정, 불시에 발생한다는 사실이다. 당연히 주민들의 불안감은 커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시민들의 불안감을 가라앉히기 위해서라도 더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사고가 끊이지 않는 화학제품 취급 선박이나 공장에 대한 철저한 점검은 필수다. 여기에다 울산에서 자주 폭발사고가 발생하는 화학공장들의 경우 대부분 오래됐다는 사실이다. 이 때문에 정부에서는 울산공단에 대한 안전문제에 각별한 관심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질적인 조치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이 때문에 잊을 만 하면 터지는 대형사고는 시민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결국 이같은 사고가 이어지는 이유는 정부의 안전대책 투자지연과 산업현장에서 안전불감증 만연이 큰 이유다. 무엇보다 상시점검 시스템을 구축하고 안전문제를 공단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울산항과 위험물 취급 지역, 선박 등 모든 곳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문제는 이 같은 노력이 제 역할을 해나가기 위해서는 예산의 지원이 보다 내실화되고 안전시스템도 촘촘히 살펴야 한다는 사실이다. 이와 함께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역시 시민들의 의식이다. 행정의 안전도시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시민의식을 안전에 초점을 맞추는 일이 우선 과제다. 이에 대한 보다 세심한 현실적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안전에 대한 생각부터 바꾸는 노력이 밑바탕이 되어야 안전한 도시는 정착될 수 있다.

시민들의 안전의식 제고와 함께 정부의 안전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재정적 지원 없이 안전한 공단을 만드는 일은 공염불이다. 노후 국가산단 안전관리는 문재인 정부의 국정핵심 과제인 산업안전 공약과 궤를 같이한다는 점에서 사업 추진을 위한 국비 지원이 절실하다. 국가산단의 광역단체 실질적 관할 이양과 전폭적인 예산지원은 당연한 수순이다. 제도적 정비와 예산의 지원이 있어야 안전에 대한 체계적인 방안이 구축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정부의 보다 세심한 관심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