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이 북방경제의 주요 거점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는 오래전부터 나왔다. 이와관련해 최근 울산시가 북방경제경제협력사업을 통해 2조2,800억 원에 달하는 산업생산유발효과가 기대된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울산발전연구원 정원조 박사는 지난 10일 시청 상황실에서 열린 '2020년 제1차 울산시 북방경제협력위원회' 회의에서 '울산시 북방경제협력 및 북방교류 연구' 최종보고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정 박사는 '한반도와 유라시아를 연계하는 북방경제 중심도시 울산'을 비전으로, '글로벌 에너지도시' '환동해조선해양거점도시' '북방경제교류도시' 등 3대 목표와 6대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6대 전략은 '글로벌 친환경에너지 허브도시 조성' '동북아 에너지 비즈니스 선도도시 조성' '지역특화를 통한 해운조선 경쟁력 강화' '동북아 북극해항로 거점항만 조성' '북방지역 교류협력 확대 추진' '북방경제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이다.

정 교수가 제시한 유망 사업은 모두 64개나 된다.이 가운데 △에너지 부문은 '글로벌 에너지 허브구축' '에너지 비즈니스생태계 확충' '원전해체산업 글로벌 시장 진출기반 마련' 등 14개 △항만 부문은 '울산항 북방경제협력 기반 조성' '울산기업 극동지역 항만배후단지 진출 지원' 'LNG터미널 연관사업 집적화 추진' 등 11개 등은 당장 시작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물론 이같은 구상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다. 막대한 사업비가 들어가는 일인 만큼 정부의 지원은 당연히 기반이 돼야 마땅하다. 

투자대비 효과는 확실한 전망이다. 고용유발효과가 울산에서는 2만5,166명, 전국적으로 3만2,750명이, 산업생산유발효과는 울산이 2조2,830억 원, 전국이 4조523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울산이 1조1,431억 원, 전국 1조5,133억 원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관련 한·러 지방협력포럼은 주요 창구가 될 수 있다. 이 포럼은 한·러 정상 간 합의사항으로 창설돼, 2018년 11월 경상북도 포항에서 제1차 회의가 개최됐으며, 제2차 회의는 지난해 9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서 개최됐다. 그리고 제3차 포럼은 울산시 주관으로 잠정적으로 오는 6월 24일에서 26일까지 3일간 개최될 예정이다. 

한국 측은 17개 광역자치단체장이 참가하고, 러시아 측은 연해주를 비롯해 극동연방관구 소속의 11개 주 단위의 지자체장이 참가하는 등 대규모 국제행사로 치러질 예정이다. 정부투자를 이끌어내야 할 상황에서 이번 포럼은 울산시로서는 중요하다. 울산시는 포럼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외교부와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에너지경제연구원, 한국무역협회, 울산상공회의소 등과 긴밀한 협조로, 의제 발굴을 비롯해 행사장 준비와 포럼 진행 방안 등 행사 준비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은 북방경제와 환동해권 문제에서의 울산의 위상이다. 울산시는 이미 울산을 북방경제협력의 중심도시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표명해 놓은 상태다. 울산은 환동해권의 핵심 도시이자 1,000년 전부터 한반도 국제무역의 핵심항만이었다. 바로 이같은 역사적 사실을 근거한다면 지금 이뤄지는 항만의 개발이나 북방경제 논의는 이미 오랜 역사를 가진 울산의 특화된 인프라이기도 하다. 

문제는 한동안 울산이 바다에 대한 중요성을 간과해 왔다는 사실이다. 바다를 통해 국제무역도시, 환동해 중심도시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을 외면한 결과 울산은 해양개발에서 뒤처진 신세가 됐다. 이제 이같은 지난 시절의 잘못을 반복해서는 안 된다. 울산시는 북방경제에 초점을 두고 지난해부터 지역 특성을 부각한 경제 산업 관광 분야에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미 이같은 구상은 연구결과로도 나와 있다. 

울산발전연구원 유영준 박사는 '남북 교류 활성화에 대비한 울산형 관광 상품 개발'에서 이 같은 점을 시사한 바 있다. 유 박사는 "남북 교류가 활성화되면 향후 북한을 찾는 국내·외 방문객이 늘어나고, 이 과정에서 울산이 북한과 북방 경제권을 오가는 노선에서 중간 경유지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울산시는 이미 북방경제에 대비한 위원회와 관련 부서를 두고 이 부분에 대한 집중적인 과제수행을 해나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보다 많은 전문인력과 인프라 구축을 통해 기반부터 다지는 밑바탕이 필요하다. 

문제는 정부의 우선투자에서 북방교역부분에 울산이 제외돼 있다는 사실이다. 먼저 이 부분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 울산이 북방교역의 여러 가지 조건을 갖춘 도시라 해도 정부 정책 기조에서 빠져 있다면 짝사랑에 불과하다. 경상북도를 거점으로 한 북방교역에 해오름 동맹의 축인 울산이 함께 하도록 다양한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 문제는 미래에 대한 준비다. 북방경제와 환동해권이 울산의 미래라면 여기에 걸맞은 비전을 제시하는 착실한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