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2015년 12월부터 감소세를 보인 울산 인구수가 4년 가까이 회복세로 돌아서지 않고 있다. 결국 지난 연말을 기점으로 심리적 한계선인 인구 115만 명선이 무너지고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악순환이 계속되는 상황이다. 

울산시에 따르면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19년 말 기준 지역별 주민등록 인구변동을 살펴보면 울산의 인구는 114만8,019명으로 전년 115만5,623명 대비 7,604명이 준 것으로 집계됐다. 현재 울산의 평균연령은 40.8세이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3만1,700여 명으로 15세에서 29세까지 청년인구 21만1,800여 명을 빠르게 따라붙고 있다. 한마디로 울산의 인구감소가 심각한 상황인 데다 고령화 속도가 빠르게 진행된다는 의미다.

여기에는 무엇보다 동구지역의 인구감소세가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는 상황이다. 울산 동구의 인구 감소세는 최악의 상황이다. 지난 2년 3개월 만에 1만여 명이 동구를 떠나면서 이제는 심리적 저항선이라는 16만 명 선마저 무너졌다. 동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울산 동구지역 인구는 외국인을 포함해 15만9,65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3년 이후 6년 연속 하락한 것이다. 연도별 인구수는 △2013년 17만8,468명 △2014년 17만6,668명 △2015년 17만4,963명 △2016년 17만4,514명 △2017년 16만9,605명 △2018년 16만4,643명 등이다. 

울산 동구의 인구 감소 추세는 조선업의 업황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 해양플랜트 등으로 역대급 호황기를 누렸던 때 인구가 정점을 찍었고, 불황이 시작되면서 인구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다. 동구지역의 대표적인 사업체인 현대중공업은 2015년과 2016년, 2018년 희망퇴직을 단행했다. 그때부터 인구 감소 속도도 눈에 띄게 빨라졌다. 2008년부터 유지되던 인구 17만 명대는 2017년 9월 무너졌다. 약 9년 만이다. 이후 16만 명대를 유지하다 2년 3개월 만에 다시 15만 명대로 주저앉았다. 2018년 현대중공업의 해양플랜트 물량이 바닥난 데 따른 해양공장 가동 중단과 희망퇴직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호황기인 2013년 2만 명이 넘었던 협력업체 노동자 대부분이 동구를 떠났다. 

울산의 인구감소를 이야기할 때 제조업 부진이나 기업의 구조조정을 이야기하지만 이 문제와 함께 고려돼야 할 부분이 바로 젊은 층의 감소추세가 예사롭지 않다는 사실이다. 여기에는 무엇보다 교육기관의 부족이 가장 큰 요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울산의 경우 대학은 종합대학교 2곳을 포함해 모두 5곳에 불과하다. 부산 25곳, 경남 23곳과 크게 비교된다. 종합대학교는 울산대학교와 유니스트밖에 없어 다양한 학과 개설도 쉽지 않다. 울산의 경우 지역 내 대학 입학정원은 5,800명에 불과하다. 그러다 보니 울산지역 고등학생들은 서울, 대구, 부산 등 전국으로 유학을 떠나고 있다. 2019년 기준 울산지역 고교졸업생 중 대학 진학생은 1만1,000명가량이지만 3,500명만 지역 내 대학으로 진학하고 나머지 7,000명 이상은 타 지역 대학으로 진학한 실정이다.

결국 이 같은 청년인구의 유출은 지역의 미래경쟁력 약화를 야기한다는 점에서 대학유치를 요구하는 시민의 목소리도 커지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울산시는 청년인구 역외유출 방지 문제를 심각하게 보고 현재 육성 중인 신성장 산업에 필요한 전문 인력까지 대학 유치를 통해 직접 양성.공급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실제로 울산시는 관계부서 합동의 대학유치 추진 TF를 구성하고 몇 차례 회의도 가졌지만 아직까지 성과는 보이지 않고 있다. 

울산시는 이 문제와 관련해 울산시의 인력수요에 부합하는 학과 중심으로 다수 대학의 공동캠퍼스 설치 검토와 유치대상 대학의 선정기준 등을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그동안 울산시는 타지역 대학의 울산 이전 유치를 위해 몇몇 대학과 지속적으로 협의를 추진했으나, 해당 대학 구성원의 반대나 교육부의 정원증원 반대방침, 대학의 부지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최종 유치까지 성사되지 못했다. 게다가 출산율 저하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로 올해부터 전국 고교 졸업생 수가 전체 대입정원에 미달될 것으로 우려돼 대학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 울산시 관계자는 "대학 신설이나 정원증원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타지역 대학의 전체 이전도 제반 여건상 가능성이 희박한 상황인 것이 사실"이라며 "그래도 울산의 특수성을 고려해 대학 유치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여전히 추진 중"이라고 밝히고 있다.

문제는 정부의 의지다. 울산의 교육여건이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 만큼 일반적인 잣대로 대학 증설을 제한하는 것은 옳지 않다. 인구감소의 기본적인 원인이 젊은 층 이탈에 있다는 점을 중시한다면 이 부분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가 필요한 대목이다. 울산시와 정치권이 나서 이 문제를 해결해 주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