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남권 주요 상권은 총 146개로 조사됐다. 이들 상권은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등을 구성하고 있는 대표적인 6개 업종의 사업체수가 1,000개 이상인 행정구역(읍면동)을 기준으로 선정했다. 지역별로 부산 70개, 경남 57개, 울산 19개다. 상권 성장단계별(성장-정체-쇠퇴)로는 성장상권이 63개(43.2%), 정체상권 59개(40.4%), 쇠퇴상권은 24개(16.4%)로 파악됐다. 성장상권은 울산과 경남 비중이 부산보다 높았고, 쇠퇴상권은 부산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동남권 상권 내 사업체수는 2010년 22만 6,000개에서 2018년 26만 5,000개로 연평균 2.0% 늘었다. 부산은 같은 기간 10만 6,000개에서 12만 1,000개로 연평균 1.7% 증가했고, 울산은 3만 개에서 3만 6,000개, 경남은 9만 개에서 10만 8,000개로 각각 2.3% 늘었다. 업종별로는 부동산업 사업체 수가 연평균 4.8% 증가하며 가장 많이 늘었고, 다음으로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3.5%, 숙박·음식점업 2.0% 순으로 증가했다. 반면 도·소매업(1.8%), 예술·스포츠·여가관련서비스업(1.5%), 기타개인서비스업(1.3%)은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부산 구·군 상권은 해운대구 8개, 동래구·부산진구 7개, 기장군·서구·영도구는 1~2개에 불과했다. 성장 단계별로는 전체 70개 중 성장상권이 27개(38.6%), 정체 25개(35.7%), 쇠퇴상권은 18개(25.7%)로 파악됐다. 울산 구·군 상권은 남구 8개, 울주군·중구 4개, 북구 2개, 동구 1개 순이다. 성장 단계별로는 성장상권은 9개(47.4%), 정체는 10개(52.6%), 쇠퇴상권은 없었다.

성장상권 9개는 울주군 3개, 남·중·북구 각 2개씩이다. 울주군(범서·온산·온양읍)의 경우 산업단지 개발, 아파트 단지 설립 등에 따른 인구 유입으로 상권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중구(병영1동, 태화동)는 태화강 주변 개발 및 먹거리 상권 활성화 등이 긍정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동남권 전체에서 가장 많은 사업체가 밀집한 남구 삼산동은 고속버스터미널, 백화점이 입지해 안정적 유동 인구를 바탕으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또 신정2동도 아파트 신규 입주 등으로 상권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한편 정체상권은 10개 중 6개가 남구에 밀집돼 있고, 울주군 언양읍, 중구 중앙·성안동과 다운동, 동구 방어동 상권도 성장세가 미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동남권 상권 중 음식점업에 특화된 상권은 부산 강서구 녹산동, 울산 울주군 온산읍, 경남 양산시 물금읍 순으로 조사됐다. 이는 상권에 입지한 업종의 특화도를 의미하는 입지계수(LQ, Location Quotient) 분석 결과다. 쇼핑업 최대 특화상권은 부산이 8개로 가장 많고, 울산은 중구 중앙·성안동, 경남은 진주시 중앙동이 쇼핑업 특화도가 높은 지역으로 분류됐다. 여가업 특화도가 높은 1~3위 상권은 경남 창원시 봉림동, 합성2동, 상남동 등 모두 경남 상권으로 나타났다. 부산은 남구 대연3동, 울산은 남구 삼산동이 여가업 특화도가 높은 상권으로 조사됐다. 교육업 특화도가 높은 상권은 경남이 창원시 반송동, 진주시 평거동, 양산시 양주동 등 6개로 가장 많았다. 부산의 경우 북구 화명3동, 울산은 남구 신정2동으로 조사됐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지속으로 지역 상권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부산의 서면, 연산, 사상, 남포, 동래 등 주요 상권 유동인구는 확진자 발생 이전과 비교하면 30~4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해운대의 경우 관광객 감소 등 영향까지 더해져 유동인구는 예년의 28.6%까지 급감했다.

단기적으로는 한계상황에 내몰린 지역 소상공인, 자영업자 등의 생존을 위한 전폭적 지원이 중요하다. 지역상권의 생태계 자체가 훼손될 우려가 높은 상황인 만큼 정부와 지자체의 세제 혜택, 재정 지원 등의 실행 속도를 높여야 한다. 민간부문 금융 지원, 물품 기부 등 다양한 지원노력의 범위와 규모도 획기적으로 확대되길 기대한다.

중장기적으로는 동남권 상권 지원정책의 전반적 재검토가 요구된다. 성장상권의 지속가능한 발전뿐만 아니라 정체 및 쇠퇴상권에 대한 재개발·정비 등 맞춤형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코로나19 사태 등 예상치 못한 외부 충격에 대한 위기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