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가 안전지수를 전국 최고 수준으로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에 나서고 있다. 지역 안전지수 개선 대책 보고회도 가졌다. 보고회에서는 시·구·군 담당 실·국장과 경찰청, 교육청, 교통안전공단, 울산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관계자 등이 지역 안전지수 개선 대책을 논의했다. 울산 지역 안전지수는 2018년까지 8개 특·광역시 중 서울 다음으로 높은 2위권으로 도약했다. 그러나 2019년 감염병, 교통사고, 화재 등 3개 분야에서 전년도보다 등급이 떨어져 4위권으로 밀려났다. 

울산시는 올해 다양한 분야 전문가와 협력해 전국 최고 수준 안전지수 달성을 위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추진한다. 

울산시는 지난해 지역 안전지수 등급이 하락한 감염병, 화재, 교통사고에서 사망자 수가 늘어난 부분에 대한 컨설팅에 들어가는 등 체계적인 분석과 함께 개선에 나서기로 했다. 울산시는 또 도출하는 개선 방안을 시책에 적극적으로 반영해 안전제일 도시를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울산시는 전국에서 가장 안전한 도시로 자리매김할 때까지 지역안전지수 개선에 시정 역량을 결집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지역 안전지수는 행정안전부가 안전과 관련한 감염병, 자살, 범죄, 화재, 교통사고, 생활 안전 등 6개 분야에서 국가 주요 통계 등을 활용, 전국 지자체 안전 수준을 산출하고 전국 시·도 안전 정도를 등급화해 매년 발표한다.

울산의 경우 해마다 다양한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공단의 폭발사고는 끊이지 않았다. 그때마다 안전에 대한 목소리는 높았다. 이 때문에 울산시와 산업계는 해마다 안전분야 정책으로 재난안전 통합관리, 재난취약분야 중점 안전관리, 자연재난 방재기반 및 대응역량 강화 등에 매진하고 있다. 

무엇보다 울산시에서는 원전 및 국가산단 안전관리 강화와 시민안전 문화확산 및 소방안전 인프라 확충 등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안전지수 취약분야 개선과 재난 위험시설물 안전관리 강화, 지역 축제·행사 안전관리, 계절별 자연재난 대응체계 확립에 나서고 있다. 공공시설물 내진보강과 지진방재연구센터 추진, ICT 기반 재난예경보 및 민방위 경보시스템 현대화도 구축 중이다. 

울산의 경우 원전 및 국가산단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원전 방사능 재난대비 역량 강화와 국가산단 안전관리 마스트플랜, 산단 안전사고 저감대책 등을 추진하고 있다. 각종 위원회도 두고 있다. 안전관련 위원회를 가동하는 목적은 안전문화 캠페인과 재난 위험요소 모니터링·제보, 민관협력 활성화를 위한 교육·훈련 참여 등의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민·관이 유기적인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안전한 도시 울산을 만들어나가는 데 행정을 집중하겠다는 울산시의 방점이 구체화된 사례다. 

문제는 울산이 여전히 안전하지 못하다는 이야기다. 올해만 해도 울산공단에서는 툭하면 폭발 사고가 터지고 있다. 무엇보다 기업체의 자체적인 안전의식 고취와 시스템 구축이 중요한 이유다. 

여기에 보태 시민들의 안전의식도 중요하다. 행정의 안전도시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시민의식을 안전에 초점을 맞추는 일이 우선과제다. 이에 대한 보다 세심한 현실적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행정의 안전도시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시민의식을 안전에 초점을 맞추는 일이 우선과제다. 이에 대한 보다 세심한 현실적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안전에 대한 생각부터 바꾸는 운동도 필요하다.

하지만 우리 사회 곳곳에서는 여전히 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무수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울산도 안전한 도시 만들기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그런데도 울산은 여전히 안전하지 못한 도시로 인식되고 있다. 울산을 안전한 도시로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추상적인 대책이 아니라 실질적인 안전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급선무다. 

문제는 이 같은 노력이 제 역할을 해나가기 위해서는 예산의 지원이 보다 내실화되고 안전시스템도 촘촘히 살펴야 한다. 이와 함께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역시 시민들의 의식이다. 행정의 안전도시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시민의식을 안전에 초점을 맞추는 일이 우선 과제다. 이에 대한 보다 세심한 현실적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안전에 대한 생각부터 바꾸는 노력이 밑바탕이 되어야 안전한 도시는 정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정부의 안전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노후 국가산단 안전관리는 문재인 정부의 국정핵심 과제인 산업안전 공약과 궤를 같이한다는 점에서 사업 추진을 위한 국비 지원이 절실하다. 국가산단의 광역단체 실질적 관할 이양과 전폭적인 예산지원은 당연한 수순이다. 제도적 정비와 예산의 지원이 있어야 안전에 대한 체계적인 방안이 구축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정부의 보다 세심한 관심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