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전에 둘러싸인 울산시가 원전 안전도시 로드맵 마련에 나섰다. 울산시는 국내 원전관련 산업의 중심지인 울산이 안전 문제에서도 확고한 예방기능을 가진 도시로 부상하기 위한 조치다. 이를 위해 울산시는 시민 생명과 직결된 방사능 방재 인프라를 확충에 총력전을 전개하고 있다.
울산에는 지난해 원자력발전소인 신고리 3·4호기가 모두 준공된 데다 2023년과 2024년 준공 목표로 신고리 5·6호기도 잇달아 공사가 한창이다. 울산은 방사능 방재 인프라뿐만 아니라 앞으로 혹시나 발생할지도 모를 원전 사고에 대비한 기관과 시민 비상대응 능력을 키우는 데도 남다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상징적인 시설이 방사능 방재 지휘센터다. 울산시는 울주군 삼남면 교동리 산 86-27 일대 부지 1만여㎡ 규모에 울주 방사능방재지휘센터 건립공사를 시작했다. 총사업비 78억원을 들여 2021년 6월 완공한다. 울산 방사능 방재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예정이다. 울산시는 "방사능 방재 능력 제고와 원전 사고 시 현장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현장 지휘센터"라고 설명했다.
울산시는 또 예상치 못한 방사능 재난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방재 역량을 강화하는 데 필요한 인프라와 방재 장비 구축도 한창이다. 먼저 올해 안에 마무리하겠다는 목표로 사업비 10억원 이상을 들여 예·경보 방송 시스템, 이재민 관리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원전 사고에 대응하는 시민 대피 시뮬레이션도 마련한다. 이는 울산 기초지자체인 울주군이 다른 국내 원전 지자체 보다 앞장서서 고민하고 적극적으로 추진한 사업이기도 하다.

울산시도 이에 발맞춰 전향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지역별 지형과 시간대별 기상조건, 교통 상황 등을 반영한 과학적이고 종합적인 주민 대피 시스템이 될 수 있다. 대피 시뮬레이션은 지형과 기상 조건 반영, 방사능 확산 예측 시스템 연계, 실시간 교통 현황 정보, 울산 방재 관련 데이터 구축 등을 모두 망라한다. 울산시는 이와 함께 정부 차원의 계획이 아닌 울산지역에 맞는 지자체 맞춤형 방사능 방재 계획을 자체적으로 수립하고 시민 대피 시뮬레이션을 반영한 현장 조치 행동 매뉴얼도 새롭게 만들고 있다.
환경 방사선 자동 감시망과 탐사 차량을 이용한 환경 방사선율 감시와 데이터 관리, 환경 방사능 정보와 상수도, 유통 식품 등에 대한 방사능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등 환경 탐사 모니터링도 강화하고 있다.

울산시는 구·군과 함께 방사능 방재 인프라를 고도화하기 위해 구·군 환경 방사선탐사 시스템을 울산시 환경 방사선 탐사 시스템 서버에 연계한다는 계획도 올해 마무리한다. 무엇보다 방재 훈련에도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정기적인 훈련은 현장 조치 행동 매뉴얼의 실효성을 검증하는 등 지역 방사능 방재 체계가 제대로 돼 있는지, 적정한지 확인할 수 있는 척도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평상시 진행하는 실전 같은 훈련은 방사능 재난에 대비해 실제 주민 대응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울산은 현재 울산에 있는 신고리 3,4호기, 부산시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가 운영하는 고리 2,3,4호기, 신고리 1,2호기, 월성원자력본부가 운영하는 월성 2,3,4호기, 신월성 1,2호기 등 총 12기의 원전에 둘러싸여 있다. 하지만 안전 문제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걸림돌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이 가운데 가장 큰 문제는 정부의 집중적인 투자다. 안전한 도시를 만들어 가는 부분에서 가장 중요한 사안은 예산지원이다. 이 부분에서 정부는 여전히 울산을 홀대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울산은 여전히 안전 문제에서 확실한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보태 시민들의 안전의식도 중요하다. 행정의 안전도시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시민의식을 안전에 초점을 맞추는 일이 우선과제다. 이에 대한 보다 세심한 현실적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행정의 안전도시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시민의식을 안전에 초점을 맞추는 일이 우선과제다. 이에 대한 보다 세심한 현실적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안전에 대한 생각부터 바꾸는 운동도 필요하다.
굳이 원전 문제만이 아니라도 우리 사회 곳곳에서는 여전히 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무수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울산도 안전한 도시 만들기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그런데도 울산은 여전히 안전하지 못한 도시로 인식되고 있다. 울산을 안전한 도시로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추상적인 대책이 아니라 실질적인 안전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급선무다.

문제는 이 같은 노력이 제 역할을 해나가기 위해서는 예산의 지원이 보다 내실화되고 안전시스템도 촘촘히 살펴야 한다. 이와 함께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역시 시민들의 의식이다. 행정의 안전도시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시민의식을 안전에 초점을 맞추는 일이 우선 과제다. 이에 대한 보다 세심한 현실적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안전에 대한 생각부터 바꾸는 노력이 밑바탕이 되어야 안전한 도시는 정착될 수 있다.

 

☞ 울산신문 유튜브 구독하기 ▶ https://vo.la/ut4n
☞ 울산신문 홈페이지 바로가기 ▷ https://vo.la/xLJA
☞ 울산신문 페이스북 구독하기 ▶ https://vo.la/yUp4
☞ 울산신문 인스타그램 구독하기 ▷ https://vo.la/3jIX
☞ 울산신문 트위터 구독하기 ▶ https://vo.la/1ubY
☞ 울산신문 블로그 구독하기 ▷ https://vo.la/KzpI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