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주말 온산공단에서 또 사고가 터졌다. 지난 14일 울산 온산공단에 위치한 LG화학에서 유독성 가스 물질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한 때 다량의 연기가 공장 주변 하늘을 뒤덮으면서 근로자와 주민들이 긴급 대피하는 소동을 빚었다.

울산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44분께 울산 울주군 온산읍 화산리 LG화학 공장 옥외 보관소에 있던 유독성 물질이 화재로 유출됐다. 이 사고로 흰색과 노란색 연기가 다량 발생하면서 공장 주변 하늘을 뒤덮었다. 공장 근로자들은 비상 방송을 듣고 운동장이나 정문 쪽으로 긴급 대피했고, 연기에 놀란 시민들의 신고도 잇따랐다.
CCTA는 삼키거나 피부와 접촉하면 유해한 유독성 물질로 알려져 있다. 특히 피부와 눈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고, 알레르기성 피부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고 소방당국은 설명했다.

이번 사고는 조기에 수습돼 피해가 적었지만 안심할 일이 아니다. 울산과 온산공단에는 다량의 화학물질 취급업체가 즐비해 있다. 이 때문에 폭발, 가스누출 등 안전사고가 끊이질 않으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지난해 말 울산시 남구 석유화학공단 내 코오롱인더스트리 울산공장에서 탱크 유증기 폭발 사고 등 무수한 사고가 이어지는 상황이다. 비단 이 사고만이 아니라 27개의 유형별 산업단지에 100여 개의 공장이 들어서 있는 울산에선 매년 폭발과 가스누출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의 사고만 봐도 한솔케미칼 폭발사고, 덕양케미칼의 가스 누출 사고 등 각종 사고가 이어졌다. 울산산업단지에선 최근 5년간 이 같은 화재·폭발사고가 190건이 넘게 발생했다. 평균 9.7일에 한 번꼴로 사고가 이어진 셈이다.

최근 몇 년간 이어진 산단 내 화재·폭발 등 치명적 사고는 시민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있다. 여기에 지난해에는 염포부두에 정박해 있던 2만5,881t급 케이맨 제도 선적 석유제품운반선인 '스톨트 그로이란드'호에서 대규모 폭발사고는 위기감을 고조시켰다.

울산의 경우 해마다 다양한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공단의 폭발사고는 끊이지 않았다. 그때마다 안전에 대한 목소리는 높았다. 이 때문에 울산시와 산업계는 해마다 안전분야 정책으로 재난안전 통합관리, 재난취약분야 중점 안전관리, 자연재난 방재기반 및 대응역량 강화 등에 매진하고 있다.
무엇보다 울산시에서는 공단 안전관리 강화와 시민안전 문화확산 및 소방안전 인프라 확충 등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안전지수 취약분야 개선과 재난 위험시설물 안전관리 강화, 지역 축제·행사 안전관리, 계절별 자연재난 대응체계 확립에 나서고 있다. 공공시설물 내진보강과 지진방재연구센터 추진, ICT 기반 재난예경보 및 민방위 경보시스템 현대화도 구축 중이다.

문제는 울산이 여전히 안전하지 못하다는 이야기다. 올해만 해도 울산공단에서는 툭하면 폭발 사고가 터지고 있다. 무엇보다 기업체의 자체적인 안전의식 고취와 시스템 구축이 중요한 이유다. 여기에 보태 시민들의 안전의식도 중요하다. 행정의 안전도시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시민의식을 안전에 초점을 맞추는 일이 우선과제다. 이에 대한 보다 세심한 현실적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행정의 안전도시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시민의식을 안전에 초점을 맞추는 일이 우선과제다. 이에 대한 보다 세심한 현실적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안전에 대한 생각부터 바꾸는 운동도 필요하다.

하지만 우리 사회 곳곳에서는 여전히 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무수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울산도 안전한 도시 만들기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그런데도 울산은 여전히 안전하지 못한 도시로 인식되고 있다. 울산을 안전한 도시로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추상적인 대책이 아니라 실질적인 안전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급선무다. 문제는 이 같은 노력이 제 역할을 해나가기 위해서는 예산의 지원이 보다 내실화되고 안전시스템도 촘촘히 살펴야 한다.

이와 함께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역시 시민들의 의식이다. 행정의 안전도시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시민의식을 안전에 초점을 맞추는 일이 우선 과제다. 이에 대한 보다 세심한 현실적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안전에 대한 생각부터 바꾸는 노력이 밑바탕이 되어야 안전한 도시는 정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정부의 안전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노후 국가산단 안전관리는 문재인 정부의 국정핵심 과제인 산업안전 공약과 궤를 같이한다는 점에서 사업 추진을 위한 국비 지원이 절실하다. 국가산단의 광역단체 실질적 관할 이양과 전폭적인 예산지원은 당연한 수순이다. 제도적 정비와 예산의 지원이 있어야 안전에 대한 체계적인 방안이 구축될 수 있다. 공단이 밀집한 울산의 경우 무엇보다 정부의 보다 세심한 관심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즉각적인 조치를 촉구한다.

 

☞ 울산신문 유튜브 구독하기 ▶ https://vo.la/ut4n
☞ 울산신문 홈페이지 바로가기 ▷ https://vo.la/xLJA
☞ 울산신문 페이스북 구독하기 ▶ https://vo.la/yUp4
☞ 울산신문 인스타그램 구독하기 ▷ https://vo.la/3jIX
☞ 울산신문 트위터 구독하기 ▶ https://vo.la/1ubY
☞ 울산신문 블로그 구독하기 ▷ https://vo.la/KzpI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