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염포부두 폭발 사고를 낸 선박의 예인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이 문제와 관련 마산해양수산청 통영수산사무소는 스톨트 그로이란드호의 기항 허가를 보류했다. 통영수산사무소는 애초 지난달 31일까지 처리하기로 했으나, 환경단체의 주장에 따라 안정성을 소명할 수 있는 추가 자료를 토대로 오는 8일까지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일주일의 시간을 벌었지만 여전히 논란은 남은 셈이다. 울산과 통영 등 환경단체들은 선박 유해물질을 전면 재조사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환경단체들의 이같은 주장은 사고 선박 내 수 천톤의 고체화된 유해물질 '스티렌모노머(SM)'가 있을뿐 아니라 선저에 있는 평형수도에도 엄청난 오염이 일어났다는 점을 근거로 한다. 울산·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등은 공동성명서를 통해 "울산 폭발 선박 유해물질 전면재조사 및 통영 입항 불허해라"고 밝혔다. 

환경운동연합은 "울산 폭발 화재 선박의 평형수 6,588t이 폭발과정에서 SM에 오염됐다는 제보를 받았다"면서 "제보에 따르면 스톨트 그로이란드호 9번 탱크가 폭발하면서 고형화된 SM 2,800톤 이외 폭발과정에서 선박 크렉 등으로 SM이 평형수(발라스트 탱크 1,3,4,5번)에 흘러들었다"고 설명했다. 또 "SM 물질 중 일부는 젤화 돼 있다. 평형수가 오염됐다는 것은 폭발과정에서 선체에 균열이 발생했으며, 선박이동은 해양오염 우려가 매우 높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환경부는 고형화된 SM만을 대상으로 이 폐기물을 '지정폐기물이 아닌 일반폐기물'로 보고 폐기물 수입 신고를 받아줌으로써 사태를 키웠다. SM에 오염된 평형수의 존재를 간과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때문에 환경부는 오염된 평형수의 양과 오염정도, 선박내에 있는 폐기물의 상태, 선박의 안전성 등을 전면 재조사해야 한다. 재조사에는 관련기관, 환경단체와 민원인 등의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선박의 이동은 울산시민들의 안전과 직결된 문제라는 점이다. 이 때문에 선박이 정박해 있는 울산 염포부두와 관련된 기관들은 물론 울산시도 이 선박의 유해물질에 대해 재조사에 나서는 등 적극 행정을 펼쳐야 하는 점은 반드시 필요하다. 최근 몇 년간 이어진 울산의 각종 폭발 사고는 시민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있다. 여기에 염포부두 석유제품운반선인 '스톨트 그로이란드'호에서 발생한 대규모 폭발사고는 결정적인 불안요인이 됐다. 그런 점에서 이 선박을 그냥 이동할 경우 어떤 안전사고도 없도록하는 부분은 매우 중요하다.

울산의 경우 해마다 다양한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공단의 폭발사고는 끊이지 않았다. 그때마다 안전에 대한 목소리는 높았다. 이 때문에 울산시와 산업계는 해마다 안전분야 정책으로 재난안전 통합관리, 재난취약분야 중점 안전관리, 자연재난 방재기반 및 대응역량 강화 등에 매진하고 있다.

무엇보다 울산시에서는 공단 안전관리 강화와 시민안전 문화확산 및 소방안전 인프라 확충 등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안전지수 취약분야 개선과 재난 위험시설물 안전관리 강화, 지역 축제·행사 안전관리, 계절별 자연재난 대응체계 확립에 나서고 있다. 공공시설물 내진보강과 지진방재연구센터 추진, ICT 기반 재난예경보 및 민방위 경보시스템 현대화도 구축 중이다.

문제는 울산이 여전히 안전하지 못하다는 이야기다. 올해만 해도 울산공단에서는 툭하면 폭발 사고가 터지고 있다. 무엇보다 기업체의 자체적인 안전의식 고취와 시스템 구축이 중요한 이유다. 여기에 보태 시민들의 안전의식도 중요하다. 행정의 안전도시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시민의식을 안전에 초점을 맞추는 일이 우선과제다. 이에 대한 보다 세심한 현실적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행정의 안전도시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시민의식을 안전에 초점을 맞추는 일이 우선과제다. 이에 대한 보다 세심한 현실적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안전에 대한 생각부터 바꾸는 운동도 필요하다.

하지만 우리 사회 곳곳에서는 여전히 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무수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울산도 안전한 도시 만들기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그런데도 울산은 여전히 안전하지 못한 도시로 인식되고 있다. 울산을 안전한 도시로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추상적인 대책이 아니라 실질적인 안전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급선무다. 문제는 이 같은 노력이 제 역할을 해나가기 위해서는 예산의 지원이 보다 내실화되고 안전시스템도 촘촘히 살펴야 한다.

이와 함께 정부의 안전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노후 국가산단 안전관리는 문재인 정부의 국정핵심 과제인 산업안전 공약과 궤를 같이한다는 점에서 사업 추진을 위한 국비 지원이 절실하다. 국가산단의 광역단체 실질적 관할 이양과 전폭적인 예산지원은 당연한 수순이다. 제도적 정비와 예산의 지원이 있어야 안전에 대한 체계적인 방안이 구축될 수 있다. 공단이 밀집한 울산의 경우 무엇보다 정부의 보다 세심한 관심이 절실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