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번 의료계 파업은 국민들에게는 상처만 남았다. 
 
당정은 지난 7월 국회에서 당정협의를 열고 오는 2022년부터 10년간 의과대학 정원을 4,000명 늘리고, 이 중 3,000명을 지역 의료 인력으로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최전선에서 신체적, 정신적 피로가 극에 달한 의료진들에게 감사를 표하지 못할 당정이 '짱돌'을 던진 것은 분명하다. 
 
왜 의료 인력의 도움이 가장 절실한 이 시기에 공공의료 확충 정책 내 놨을까? 시의성이 맞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공공의료 확충 정책을 내세울 수 있었던 동력은 국민들의 '의료 파업'을 공감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이 있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3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공개한 '의사 단체파업 공감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번 집단진료거부에 '비공감한다'고 답한 이들은 55.2%로 과반을 넘어섰다. 그중 '전혀 공감하지 않음'을 택한 응답자는 38.7%로 높은 수준이다. 2일에 발표한 리서치뷰 결과 역시 비슷했다. 의사협회의 총파업에 대해 '법에 따라 엄정 대응해야'(36%)와 '중단하고 대화로 해결해야'(33%) 한다는 답변이 총 69%에 달해 다수 국민이 의사협회 파업에 대해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봤다. 특히 코로나19 상황이 '신천지 때보다 지금이 더 심각하다'고 답한 응답층에서는 '엄정 대응'(45%), '대화로 해결'(35%), '의협 요구 전면 수용'(17%) 순으로, 법에 따라 엄정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응답이 전체 평균보다 9% 포인트나 높았다.
 
이에 파업을 선언한 전공의들을 고발하고, 공권력 행사하는 등 정부와 여당은 강공으로 밀어붙였다.
 
그러나 당정의 강경 대응이 오히려 의사들의 무기한 파업을 부추긴 모양새가 됐다. 의대 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신설의 필요성이 시급했다면 사전에 충분히 여론화 과정을 거치는 게 상식이다. 
 
이번 정책도 현 정부가 여러 분야에서 보여 온 밀어붙이기 식 정책의 '한 축'일 뿐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