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은 예술전문대학이 없다. 미술학원, 실용음악학원은 많은데 대학교가 없어서 젊은 예술가들이 울산을 떠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집 떠난 연어가 돌아오면 좋겠지만 “노잼 도시 울산" “문화의 불모지 울산"과 같은 이러한 인식으로 각인된 고향으로 돌아오는 선택을 하기는 쉽지 않다.
 
그런데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젊은 청년 예술가들의 모습이 많이 보인다.
 
이러한 데에는 울산 청년예술인 지원사업이 한몫을 하는 것 같다. 참 활동하기 어려웠던 울산이었지만, 다양하고 실험적인 청년문화사업의 시도로 청년문화예술의 활기를 띠고 있다. 
 
예전과 비교해서는 참 많이 좋아진 환경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청년 예술가 지원사업을 안 좋게 보는 시선도 있다. 
 
요즘 청년 예술가들 너무 쉽게 보조금 사업 받는 것 아니냐? 청년 예술가들에게 꼭 지원해야 하나? 제대로 사업은 진행할 수 있는가? 수행 능력이 떨어지지 않는가? 라는 말이 나오기도 한다. 청년 예술가라는 이유로 사업비를 비교적 수월하게 지원받고, 정산의 과정 또한 까다롭지 않기 때문에 무분별한 지원사업이라고 생각하는 의견도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선배 예술가들은 맨땅에 헤딩하고 실패하며 여러 시행착오 끝에 배웠으니 말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를 “라떼는 말이야~" 한다면 울산 문화예술의 성장은 더뎌질 것이다.
 
청년문화예술사업에 참여하는 예술가들은 대부분 신입 예술가나 대학을 갓 졸업한 사회의 초년생의 친구들이 많기 때문에 당연히 서툴고 부족한 부분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회사에 들어가면 인턴제도가 있다. 문화예술지원사업에도 이러한 제도가 도입된다고 생각해보면 어떨까? 불안하고 서툴 수는 있겠지만 이들이 함께 문제를 수행하고 결과를 도출해내는 과정이 성장의 발판을 마련해 줄 것이다. 이러한 시선으로 보았을 때 문화예술 사업의 초입을 다지기 위한 과정으로서도 청년문화예술사업은 존재해야 한다. 
 
우리는 처음 문화 예술사업에 발 들이는 그들을 향해 조금은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너그러운 마음으로 지켜봐 줘야 한다.
 

청년문화예술가 지원사업은 앞으로의 울산 문화예술사업이 원만하게 진행되기 위한 또 발전하기 위한 디딤돌 역할을 할 것이다. 예술대학도 없는 울산에 청년 지원사업이야말로 집 떠난 연어를 돌아 오게 하고, 숨어있는 집돌이·집순이 예술가들을 끄집어 낼 수 있는 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이들의 혜택이 울산만의 문화예술 씬(scene)의 체계를 구축해 나가는 과정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무조건적인 지원은 피해야 한다. 단발성에 끝나는 청년지원이 아니라 장기간 새내기 예술가에서 전문예술가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돼야 한다. 지원을 통해 선배 예술가들과의 교류, 자신의 예술관도 견고해져야 할 것이며 기획력과 행정력도 가져야 한다. 지원사업의 실행에 대한 의무감 등을 겸비해 청년이라는 타이틀을 벗고 문화 예술세계에 입문할 수 있는 계기로서 청년 예술가 지원 사업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울산답고 따뜻한, 서로 공생할 수 있는 예술지원사업은 어떻게 진행되어야 할까?
 
좁다면 좁은 울산. 장르별 씬(scene)이 크게 형성되지 않아 타지역에 비해 장르 간의 교류 공연도 마음먹으면 원활한 이곳 울산. 울산 문화예술 활성화의 실마리는 세대 간의 연결에 있다고 생각한다. 
 
최근에 울산문화재단에서 진행했었던 후배, 선배 예술가의 대담이 있었다. 참 좋은 자리였다. 각 분야 선배들의 예술관과 활동기를 알아보고 후배들과 교류하며 서로 몰랐던 부분을 알게 되고 예전과 현재에 달라진 시스템에 대해서도 공유하는 자리가 되었다. 선후배를 떠나 예술가 대 예술가로도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된 시간이었다.
 
청년 예술가 지원사업이 확장되고, 선배 후배 예술가들 간의 소통의 장이 지속적으로 마련되면 좋겠다. 어느 예술가도 소외됨 없이 함께 성장을 도모해야 할 것이고, 세대를 초월한 사이좋은 예술가들 간의 관계는 울산 예술의 큰 힘이 될 것이다.
 
청년은 언제까지 청년일 수 없다. 또 다른 청년 세대, 그다음 세대가 계속 생겨날 것이다. 
 
우리는 서로를 포용하고 수용하며 예술가들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청년지원사업은 청년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조금 더 기회와 용기를 주고 실패도 포용하며 이후 더욱 까다로운 사업 또는 공연에도 쫄지 않을 수 있는 원동력을 길러주는 힘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