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와 남구는 다가오는 추석 연휴 기간 환경 오염 행위를 예방하기 위해 다각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울산시는 연휴 전날인 29일까지 배출업소 자율 점검 유도를 위해 700여 개 업체에 협조문을 보내기로 했다. 또 특별감시반을 편성해 중점 관리 업체, 폐수 처리 업체, 폐수 위탁 업체 등을 점검한다. 연휴 기간인 30일부터 다음 달 4일까지는 시와 구·군 종합상황실을 설치해 상수원 수계, 산업단지 주변 등의 환경 순찰을 강화한다. 

화학업체가 집중된 울산 남구의 경우 다음 달 8일까지 3주간 단계별 단속과 계도를 시행한다. 우선 추석 연휴 전인 29일까지는 배출업소가 자율 점검을 유도하는 홍보·계도에 초점을 맞춘다. 폐수 배출업소 148곳과 대기 배출업소 및 악취 배출 사업장 484곳에 자율 점검 협조문을 발송한다. 

특히 오염 물질 배출 우려가 높은 15곳은 현장 특별 점검을 한다. 이어 30일부터 다음 달 4일까지는 구청 당직실과 연계한 상황실을 설치해 운영한다. 상황실 비상 근무자는 유해 화학물질 누출과 수질 오염 사고 등 환경 오염 행위 관련 민원을 접수하고, 태화강, 여천천, 무거천 등 하천 순찰 업무를 수행한다.

울산 남구는 특별 감시 활동 기간 중대한 위법 사항이 확인될 경우 해당 사업장에 대한 고발과 행정 처분 등을 하고, 비교적 경미한 사항은 현장 지도를 통해 시정할 방침이다. 남구는 지난해 추석 연휴 기간에도 강력한 사전·사후 오염 예방 활동을 시행한 결과 위반 사례가 한 건도 나오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올해의 경우 장기간의 장마 등으로 공해물질 불법배출이 잦았다. 

실제로 올봄부터 여름철까지 북구와 남구 동구 일대에서는 "고무 타는 냄새나 전선 타는 냄새가 난다" 거나 "메케한 가스 냄새가 난다"는 악취 민원이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이번 여름이 유난히 장마가 길었고 공단에서 시가지로 남동풍이 잦아 악취뿐 아니라 유해물질도 함께 섞여 유입됐을 것이라는 분석을 하고 있다. 이상 기후로 시민들이 접할 수 있는 대기오염 물질이나 악취 역시 더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이처럼 시민들이 체감하는 악취공해는 심해지고 있지만 시가 매년 추진해온 악취저감 종합대책은 악취를 근절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울산시는 악취방지법이 제정된 2005년부터 매년 수억 원을 들여 악취저감 종합대책을 운영하면서 악취발생원인 기업체를 점검·단속하고, 환경순찰, 민원 발생 시 악취발생원을 추적하고 있다. 

요즘도 잊을만하면 울산의 대기공해 문제가 전국적인 뉴스에 오르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공해도시의 멍에를 벗어던진 생태도시 울산을 홍보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발암물질 최다배출도시라니 고개를 들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이 같은 사실은 벤젠배출 사업장에 대한 단속결과 밝혀졌다. 

울산지역 국가산업단지 내에서 대표적인 발암물질인 벤젠이 전국에서 가장 많이 배출되고 있지만 관리는 부실한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다 울산 산단지역 암 발생률이 전국평균을 크게 웃돌고 있다는 통계까지 나온 상황이다.

당국이 국가산업단지 내 벤젠 배출 사업장을 대상으로 진행한 '특별환경관리 실태점검'에서 9곳이 환경법을 위반한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가 진행된 16곳은 유해화학물질인 벤젠을 생산하거나 이를 함유하는 원료를 다량 사용하는 석유정제처리 및 석유화학물질 제조 사업장이다. 특히 2015년 기준 화학물질 배출·이동량 정보시스템(PRTR)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 16개 사업장이 배출하는 벤젠이 연간 약 4만 566㎏으로 전국 배출량의 32.99%를 차지하고 있다. 

문제는 벤젠의 경우 높은 암 발생률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이 제출한 '국가 산단 지역 주민 환경오염 노출 및 건강영향 감시사업 종합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울산 산단 주변 주민들 사이의 암 발생률이 인근 대조지역(산단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역)보다 높았다. 보고서에서 1999~2013년 사이 전국 산단별 모든 암 발생률을 비교한 결과, 울산 산단 지역은 남자의 경우 10만 명당 연간 876명(95% 신뢰수준, 842~911명)으로 대조지역 622명(595~650명)과 큰 차이를 보였다.

물론 도심에서 나타나는 악취공해가 모두 발암물질과 관련된 것이라는 이야기는 아니다. 하지만 알 수 없는 악취가 잊을 만 하면 나타나는 현상은 생태도시를 지향하는 울산의 큰 약점이 될 수 있다. 지역 환경단체에서 대기오염·발암물질 안전관리지원센터 건립을 통한 모니터링 강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꾸준히 제기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환경 전문가들은 울산지역 산단 주변 지역 전체의 오염물질에 대한 총량적인 규제, 주민들이 참여하는 거버넌스 구성을 통한 오염물질 저감 등을 하루빨리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냥 지나쳐선 안 되는 이야기다. 당국의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