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기 침체의 늪에 빠진 울산이 코로나19라는 변수로 완전히 침몰 직전까지 내몰리고 있다. 여기에 기름을 붓고 있는 것이 다름 아닌 인구 감소다. 일자리와 직결된 주력산업 침체가 장기화를 넘어 고착화되면서 올해 들어서도 울산의 인구 유출이 지속되고 있다. 

지난주 울산시가 지속적인 인구 감소에 따른 대응책 마련을 위해 '인구감소 대응책 회의'까지 열었다. 이번 회의는 저출생 문제에 대해 위기 의식을 갖고 울산시와 5개 구·군이 공동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회의는 인구증가 대책방안 발표에 이어 인구감소 대응을 위한 울산시의 슬로건 선정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출생통계에 따르면 울산시의 합계출산율은 1.08명으로 전년 대비 0.05명 감소하는 등 인구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 울산시에서는 이미 인구태스크포스(TF팀) 구성 등 울산시만의 대책 수립과 인구증가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줄어드는 인구는 속수무책이다.

울산의 인구 유출은 56개월 연속 지속되고 있다 지난 7월의 경우에는 순유출률이 전국 최고 수준을 기록하기도 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7월 국내인구이동'에 따르면 지난달 울산지역 총전입은 9,820명, 총전출은 1만763명으로 943명이 순유출됐다. 인구 유출에 울산의 출생아 수도 감소하고 있어 지역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

'6월 인구동향'을 보면 지난 6월 울산 출생아 수는 5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82명) 줄었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도 5.4%로 0.8%p 낮아졌다. 올 들어 누계 출생아 수는 지난해 1~6월 대비 12.1% 줄어든 3,470명을 기록했다. 

이 문제는 단순한 사안이 아니다. 울산이 가진 현재의 문제도 있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미래의 문제와 직결된다. 전문가들의 진단을 살펴보면 젊은층의 감소 문제에서 주된 요인은 무엇보다 교육기관의 부족이 으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울산의 경우 대학은 종합대학교 2곳을 포함해 모두 5곳에 불과하다. 부산 25곳, 경남 23곳과 크게 비교된다. 종합대학교는 울산대학교와 유니스트밖에 없어 다양한 학과 개설도 쉽지 않다. 울산의 경우 지역 내 대학 입학정원은 5,800명에 불과하다.

그러다 보니 울산지역 고등학생들은 서울, 대구, 부산 등 전국으로 유학을 떠나고 있다. 2019년 기준 울산지역 고교졸업생 중 대학 진학생은 1만1,000명가량이지만 3,500명만 지역 내 대학으로 진학하고 나머지 7,000명 이상은 타 지역 대학으로 진학한 실정이다.

결국 이 같은 청년인구의 유출은 지역의 미래경쟁력 약화를 야기한다는 점에서 대학유치를 요구하는 시민의 목소리도 커지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울산시는 청년인구 역외유출 방지 문제를 심각하게 보고 현재 육성 중인 신성장 산업에 필요한 전문 인력까지 대학 유치를 통해 직접 양성.공급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실제로 울산시는 관계부서 합동의 대학유치 추진 TF를 구성하고 몇 차례 회의도 가졌지만 아직까지 성과는 보이지 않고 있다. 

울산시는 이 문제와 관련해 울산시의 인력수요에 부합하는 학과 중심으로 다수 대학의 공동캠퍼스 설치 검토와 유치대상 대학의 선정기준 등을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그동안 울산시는 타지역 대학의 울산 이전 유치를 위해 몇몇 대학과 지속적으로 협의를 추진했으나, 해당 대학 구성원의 반대나 교육부의 정원증원 반대방침, 대학의 부지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최종 유치까지 성사되지 못했다. 게다가 출산율 저하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로 올해부터 전국 고교 졸업생 수가 전체 대입정원에 미달될 것으로 우려돼 대학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 

울산시 관계자는 "대학 신설이나 정원증원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타지역 대학의 전체 이전도 제반 여건상 가능성이 희박한 상황인 것이 사실"이라며 "그래도 울산의 특수성을 고려해 대학 유치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여전히 추진 중"이라고 밝히고 있다.

문제는 정부의 의지다. 울산이 가진 다양한 문제 가운데 젊은층의 감소를 잡기 위한 대책은 바로 교육기관의 부족이라는 사실은 이미 알려진 바다. 울산이 후발 광역시라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 만큼 일반적인 잣대로 대학 증설을 제한하는 것은 옳지 않다. 인구감소의 기본적인 원인이 젊은 층 이탈에 있다는 점을 중시한다면 이 부분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가 필요하다. 

울산이 대한민국 산업수도로 근대화의 희생을 혹독하게 감내한 도시라는 점을 감안해 정부와 정치권, 교육당국은 이 문제를 보다 냉정하게 살펴야 한다. 이대로 가면 울산은 젊은층이 사라진 도시가 될 수 있다. 

사람이 모이는 도시를 만들기 위한 전 방위적인 대책은 지금 당장 서둘러야 한다. 시기를 놓치면 정말 길이 없다. 무엇보다 즉각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 정부와 당국의 응답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