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들어 울산지역 인근에서 지진이 자주 관측되고 있다. 비록 미세한 지진인데다 피해가 없다고는 하지만 안심할 일은 아니다. 

기상청에 다르면 지난 8일 오후 3시 26분께 경북 상주시 동쪽 5㎞ 지역에서 규모 2.9의 지진이 발생했다. 진앙은 북위 36.41도, 동경 128.22도이며 지진 발생 깊이는 9㎞다. 이번 지진의 규모는 올해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 중 5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지진 중 4위에 해당한다. 계기진도는 경북 최대 4, 강원·경남·대전·전북·충남·충북 최대 2다.

계기진도 4는 실내에서 많은 사람이 느끼고 일부가 잠에서 깨며 그릇이나 창문 등이 흔들리는 수준이고, 계기진도 2는 조용한 상태에 있거나 건물 위층에 있는 소수의 사람만 느끼는 수준이다. 

지난 4일에는 하루에 두차례나 지진이 발생했다. 경북 포항시 남구 동남동쪽 43㎞ 해역에서 있었던 지진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 23분쯤 규모 2.2의 지진이 발생한 데 이어 오후 4시 50분쯤 규모 2.4의 지진이 또다시 발생했다. 오후 발생한 지진의 진앙은 북위 35.84도, 동경 129.79도이며 지진 발생 깊이는 22㎞다. 계기진도는 최대 1로, 대부분 사람은 느낄 수 없으나 지진계에는 기록되는 수준이다. 

지진은 울산이 각별한 관심을 가져야 하는 재난요소다. 2000년대 들어 동남 해안과 동해권에서 지진 발생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최근 들어 지진 빈도가 부쩍 늘어나는 것 역시 대형지진을 예감케 하는 전조가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원전 등 위험 시설물이 집중돼 있는 울산으로서는 더욱 촉각을 곤두세우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국민안전처도 울산 등 동해안 지역의 지진해일 피해 가능성에 대비한 안전망 구축을 강화하고 나섰다. 지진해일에 대비해 주민대피지구는 울산, 부산, 경북, 강원 4개 시·도, 22개 시·군·구에 걸쳐 총 226곳이 지정돼 있다. 울산의 경우 남구 1곳, 동구 3곳, 북구 5곳, 울주군 6곳을 합쳐 모두 15곳이 주민대피지구로 지정돼 있다. 울산에는 또 긴급 상황에 대비해 남구 1개와 동구 8개, 북구 5개, 울주군 13개 등 모두 27곳에 경보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지진대책과 함께 지진해일 주민대피지구에 대한 일제 점검도 수시로 실시해야 한다. 지진해일 안전 사각지대가 없는지 재점검하고, 긴급 대피소와 경보 시스템 등 현장 시설들도 꼼꼼히 확인, 지진해일 사전대비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

울산의 경우 위로는 월성, 아래로는 고리 원전이라는 거대한 핵발전소가 들어서 있어 안전 시스템 마련이 어느 곳보다 중요한 지역이다. 시민들의 체감 정도는 낮은 편이지만 사실 울산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

이 때문에 울산시에서도 예고 없는 지진 발생에 따른 피해 최소화를 위해 중점시책을 점검하는 등 지진에 강한 안전도시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 2016년 9월 5.8의 강진이 발생해 막대한 피해를 낸 경주에서도 최근 규모 2.4 미만의 미소지진이 30회 발생하는 등 작은 규모의 지진이 꾸준히 발생해 당국을 긴장시키고 있다. 

울산시가 추진하고 있는 지진 대비 5대 중점시책은 △지진·지진해일 매뉴얼 정비 △내진 보강 및 시설 점검 △지진 대응체계 정비 △광역단위 협조체계 강화 △지진 대비 홍보 강화 등이다. 울산시는 우선 지진과 지진해일 매뉴얼을 개별 대응·운영할 수 있도록 정비하고 모의상황 훈련, 현장 훈련을 통해 실전에 적용 가능하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중이다.

이와 함께 시는 중앙정부가 2035년 완료를 목표로 추진 중인 공공시설물 내진 보강사업을 10년 앞당긴 2025년까지 완료할 방침이다. 민간건축물 내진성능평가 및 지진 안전시설물 인증 지원사업은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에 따른 내진성능평가 필수 대상 건축물에 대해 적극적으로 홍보해 예측하기 힘든 지진 발생에 대비하기로 했다.

또 지진·지진해일 훈련 기본계획에 따라 연중 대피 훈련을 실시하고, 지진가속도계측기 상·하반기 점검·관리하고 상시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한편 스마트 재난상황정보 전파시스템의 운영·정비를 분기별로 점검한다.

여기에 추가해서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 바로 기상청의 승격이다. 울산은 대한민국 산업수도라는 위상에도 불구하고 기반시설이나 관련 기관이 턱없이 부족하다.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환경관련 기반시설이다. 그 중추적인 기능을 하는 곳이 기상청이다. 하지만 울산에 기상청은 없다. 조직과 규모 시설 면에서 왜소한 울산기상대가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울산시민 8만 명이 기상청 승격을 요구하며 서명을 했다. 울산기상지청 승격 범시민 추진위원회는 8만3,008명의 시민 서명을 받아 이를 관계부처에 전달했다. 이 단체는 물론 울산시도 산업수도 울산의 지속적인 발전과 안전성 담보를 위해 질 높은 기상 서비스가 필수이므로 기상지청 승격에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정부가 응답할 시간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