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전한 사회는 구성원의 행복과 만족도를 높입니다. 일자리도 늘립니다. 이는 개인의 행복, 사회 통합력과 경제에도 긍정적입니다. 
 
하지만 최근 빈번히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로 시민들이 안전하게 살 권리에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입니다.
 
울산의 경우, 인근 화학단지와 고층 건물들이 속속 들어서고 있어 안전에 대해서는 더욱 적극적인 행정력이 요구됩니다.
 
국민의 힘 박완수 의원의 자료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사망자 5명 이상 또는 사상자 10명 이상이거나 재산피해가 50억 이상되는 대형화재가 47건이 발생했습니다. 
 
전체 사상자가 829명으로 연평균 9.5건 대형화재가 발생한 셈입니다. 
 
이로 인해 136명이 사망하고 693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약 5940억원 재산피해를 냈습니다. 
 
화재 발생 원인으로는 원인미상이 18건으로 가장 많았고, 용접·절단·가연물방치 등 부주의 13건, 전기적 요인 5건, 방화 5건, 기타 5건 등이 있었습니다.  
 
여기서 가장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은 대부분의 화재 발생 원인이 정확하게 규명되지 않고 있다는 것입니다.
 
얼마 전 발생된 울산 달동 고층건물 화재의 경우 화재에 취약한 알루미늄 패널 외장재로 연결된 외벽을 타고 불길이 번져 건물 전체가 화염에 휩싸였는데 화재 규모에 비해 인명사고가 없어 참으로 다행이면서도 아찔한 사고였습니다. 
 
정부에서는 관련 법규를 시급히 정비하여 고층 건물 화재에 대비하는 정책이 추진되어야 하며, 울산시에서도 지금까지 완공한 모든 건축물에 대해서 가연성 외장재 철거 및 교체 부분을 지원하는 정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시민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다고 봅니다.
 

화재 취약 요인은 정기점검을 통해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하고 있습니다. 
 

울산소방당국에서는 고층 아파트를 비롯한 관공서, 학교 등 대형 건물을 비롯한 다인가구 건물에 대한 스프링클러 등 소방장비에 대한 점검을 더욱 철저히 하고 소방점검에 대해서는 점검실명제가 도입돼야 할 것입니다.
 
이번 화재로 고층건물이 지속 증가하고 있음에도 고층건물 화재 발생 시 필요한 진압 장비 구입이 아직까지 이행되지 않은 것에 시민들은 의아해하고 있습니다. 
 
과연 시민들의 안전은 어디에서 출발합니까?
 
주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일선의 파수꾼인 울산소방당국의 세심한 행정이 요구됩니다. 
 
이번 기회에 울산시는 정부와 긴밀한 협조 체제를 유지하여 70m 이상 고층 건물 화재 진압용 고가사다리차를 구입하여 시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행정력을 집중해야 합니다.
 
2005년 12월 이후부터는 신축 아파트에 경량칸막이나 대피공간을 선택적으로 설치하고, 2010년 10월부터는 대피공간 대신 가구 간 하향식 피난구를 설치하도록 법이 개정됐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시민들은 경량칸막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 존재 여부조차 모르는 경우가 대다수이고 비상대피 공간을 부족한 수납공간 해결을 위한 붙박이장이나 수납장을 설치하는 등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경량칸막이 앞에 수납장 등을 설치하거나 물건을 쌓아두면 화재 시 대피가 어려워 큰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 경량칸막이는 화재 등 재난 발생 시 피난을 목적으로 설치된 만큼 입주민 모두가 정확힌 위치와 사용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가 필요합니다. 
 
소방당국과 안전관련 부서에서는 법이 정한 규정과 절차를 준수하길 바랍니다.  
 

각종 안전사고에는 항상 유비무환의 자세를 가질 때 시민들은 안전한 생활을 추구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여야 할 것입니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