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30년이 되면 울산은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분석됐다. 10년 후에는 울산시민 10명 중 2명은 노인(65세 이상)이다. 베이비부머(1946년부터 1965년 사이의 베이비붐 시대에 태어난 사람들)세대도 45.6% 증가할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 

인구 감소도 문제다. 울산의 인구유출은 이제 고착화된 현상이다. 인구 유출이 6년째 이어지고 있고 출생아 수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지난 10월의 경우 울산인구는 총전입 9,940명, 총전출 1만813명으로 873명의 인구가 순유출(순이동)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달에는 울산의 인구 순이동률(순유출률)은 -0.9%로, 전국에서 서울(-1.3%)과 대구·대전(-1.2%)에 이어 4번째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 2015년 12월부터 시작된 탈울산 행렬은 61개월째 진행 중이다.

울산을 포함한 전국 출생아 수 또한 지속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인구 자연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의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울산의 출생아 수는 556명으로 전년동월(602명)대비 8.2%(46명) 감소했다. 인구 1,000명당 연간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은 6.0명으로 이 또한 전년동월(6.4명)대비 0.4명 감소했다. 올 1~9월까지 누계 기준 울산의 출생아 수는 5,170명으로 전년대비 10.2% 감소했다. 

인구 절벽을 부추기는 출생아 수 감소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와중에 조선업 등 주력산업 침체로 최근 3~4년간 계속되고 있는 인구 유출, 이른바 '탈울산' 현상은 막을 수 없는 흐름이 돼가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조선업을 중심으로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에도 탈울산 인구는 줄어들기는커녕 오히려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다 더 심각한 전망도 있다. 오는 2021년 개통 예정인 동해남부선 복선전철에 따른 울산 인구의 심각한 유출 현상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동해남부선이 가로지르는 울산 북구와 울주군 남부권의 인구 유출이 가속화 될 것으로 우려되면서, 이에 대해 제대로 대비하지 못할 경우 지역경제에 역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는 진단이다. 

이같은 진단은 여러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동해남부선 복선전철 개통 후 울산 인구 유출에 대한 대비책은 시급한 사안이다. 실제로 울산을 중심으로 부산~포항을 통과하는 동해남부선 철도가 오는 2022년 하반기부터 운행되면 부산~울산~포항을 잇는 동해고속도로에 이어 접근성이 크게 향상된 교통망을 갖추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지역 자금이 문화 혜택과 쇼핑여건 등 모든 부문에서 월등한 부산 등으로 유출돼 이른바 '빨대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주장하고 있다. 

과거 부산~울산고속도로 개통에 의한 울산인구의 역외이동 전례도 살펴봐야 한다. 지난 2008년 부산-울산 고속도로 개통 전에는 부산→울산으로의 순유입이 2,849명이었으나, 개통 후에는 울산→부산으로 순유출이 2,963명으로 늘어나는 현상이 빚어졌다. 

때문에 동해남부선 복선전철 개통으로 비슷한 현상을 겪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철도가 완공되면 부산 부전~울산 태화강역 구간이 35분으로 단축된다. 때문에 동해남부선이 관통하는 '북구'와 '울주군 남부권' 인구의 역외 이동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무엇보다 울산인구 절벽 현상이 뚜렷한 가운데, 2년 뒤 철도 개통으로 인구 유출이 걷잡을 수 없이 빨라질 수 있다는 우려다. 울산의 인구는 지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최근 3년 동안 2만4,092명이 급격히 줄었다. 연 평균 8,031명이 타 지역으로 빠져나간 셈이다. 탈울산 행렬은 지난 2015년 12월부터 올 9월까지 46개월 동안 이어지는 상황. 출생아수도 2016년 1만명 이상(1만910명)에서 2018년 8,000명(8,194명)으로, 월평균 출생아 1,000명에서 500여명으로 반토막 나는 등 '울산인구 절벽 시대'가 앞당겨지는 기류다. 동해남부선 개통이 울산으로서는 '양날의 칼'이나 마찬가지다. 

정주여건을 높일 수 있는 특단의 정책이 있어야 하지만 여전히 울산시의 대책은 평범한 수준이다.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는 순간, 이미 늦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울산의 인구감소를 이야기할 때 제조업 부진이나 기업의 구조조정을 이야기하지만 이 문제와 함께 고려돼야 할 부분이 바로 젊은 층의 감소추세에 대한 고민이다. 

여기에는 무엇보다 교육기관의 부족이 가장 큰 요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울산의 경우 대학은 종합대학교 2곳을 포함해 모두 5곳에 불과하다. 부산 25곳, 경남 23곳과 크게 비교된다. 종합대학교는 울산대학교와 유니스트밖에 없어 다양한 학과 개설도 쉽지 않다. 

그렇다고 손을 놓고 있을 수는 없다. 당장 공격적이고 적극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 사람이 모이는 도시로 만들어가는 인구정책 등 행정의 밑그림이 필요하다. 울산시의 적극적인 방향 모색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