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른바 울산형 공공 '배달의 민족'이 2월 말부터 운영될 전망이다. 
 성공적으로 정착된 울산페이의 부가 기능으로 접목해 안정성은 높이고 부담은 확 줄인 울산만의 특화된 공공 배달 플랫폼이다.
 소상공인 가맹점주 입장에서는 가입이나 주문, 결제 수수료가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민 이용자들에게 각종 할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을지가 풀어야 할 숙제다.
 
# 지역 울산페이 가맹점 2만 8500여곳

가칭 '울산형 공공 배달 플랫폼(이하 배달 플랫폼)'은 울산페이 앱의 부가 기능에 접목했다.
 울산페이 가맹점주가 배달·픽업 서비스를 신청하면 이용자와 직접 연결해 주는 시스템이다.

 우선 18일부터 가맹점 신청 접수를 받기 시작했다. 기존 울산페이 가맹점이 아니더라도 배달이 가능한 업종이면 신청할 수 있다.

 공공배달 플랫폼을 먼저 신청하면서 울산페이 가맹점도 가입하는 형태다.
 현재 울산페이 가맹점 수는 2만 8,500여곳이다.
 이 중 직접적으로 배달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는 일반음식점, 슈퍼, 카페 등은 45%에 달한다.
 가맹점의 안정적 확보가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기존 '배달의 민족'이나 '요기요' 등을 이용하고 있는 가맹점주 입장에서는 마다할 이유가 없다.
 시는 우선 가맹점 신청을 받아 울산페이 앱의 부가기능으로 '공공 배달' 기능을 업데이트하고, 2월 말부터는 이용자와 연결하는 본격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울산페이의 운영은 KT가 맡고 있는데 배달 플랫폼은 KT의 협력업체인 '하렉스인포텍'이라는 업체가 준비하고 있다.

 이 업체는 전자지급결제대행업 등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체로 알려져 있다.
 시는 배달플랫폼의 본격 런칭에 앞서 명칭도 시민 공모할 예정이다.

# 빠르면 2월말부터 운영…시민 명칭 공모도
이른바 울산형 배달 플랫폼은 시가 오랜시간 동안 고심한 결과물이다.

 군산시의 경우 아예 '배달의 명수'라는 공공 배달앱을 자체 제작해 런칭했다.

 예산을 들여 직접 개발하고 대대적인 홍보에 나섰지만 막대한 자금력으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벌이고 있는 '배달의 민족' 등 기존 앱을 넘어서지 못하고 고전하고 있다.

 울산시가 공공 배달앱의 필요성은 절감하면서 지금까지 선뜻 자체 개발을 주저한 이유다.

 결과적으로 울산페이의 부가기능에 접목하면서 울산시 입장에서는 자체 개발비가 전혀 들지 않는 조건을 만들어냈다.

 울산페이 가맹점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가맹점 확보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용자를 어떻게 끌어들이느냐다.

 '배달의 민족'이나 '요기요' 등 기존 민간 배달앱 사용에 익숙한 시민들이 공공 배달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기존 민간 배달앱이 가맹점으로 부터 거둬들인 수수료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할인 등 각종 혜택을 돌려주는 운영 구조를 취하고 있어서 경쟁 자체가 어렵다. 

 울산페이 할인율은 이미 이용자가 해당 금액을 충전할 때 혜택을 부여받기 때문에 배달 플랫폼 이용까지 연계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이용자에 제공하는 새로운 혜택이 필요한데, 시가 별도의 예산을 확보하거나 운영업체가 수익구조에서 부담해야 해결될 문제다.

 김노경 울산시 일자리경제국장은 "코로나19 여파로 자영업을 하시는 분들이 배달에 주력하는 분위기 속에 공공 배달 플랫폼의 역할론을 깊게 고민하고 있다"며 "당장 소상공인인 가맹점주의 수수료 부담을 덜어준다고 하더라도 이용률이 낮으면 소용이 없기에, 일반 시민들이 배달 플랫폼에 쉽게 접근하고 자주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지혁기자 uskjh@ulsanpress.net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