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을 떠나는 이른바 '탈울산' 문제가 결국 전국 1위의 인구유출로 귀착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울산 인구는 1만 3,584명이나 줄었다. 단연 전국 최대 인구유출 규모다. 14만 9,696명이 울산을 떠나는 동안 13만 6,112명이 새롭게 울산시민이 됐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연간 국내 인구이동 통계 결과'다. 

이 통계를 토대로 계산한 결과 울산의 인구 순유출률은 -1.2%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등이다. 여기서 그치는 게 아니다. 울산 중구의 경우 지난 1년 사이 무려 6,000명이 빠져나가 순유출률 -2.7%를 기록했다. -2.7%의 순유출은 심각한 경고음이다. 울산 중구가 원도심 부활과 혁신도시 내실화 등으로 새로운 부흥을 이야기하지만 실제로는 초라하기 짝이 없는 성적표였음을 여실히 보여줬다. 무엇이 문제인지 분명하게 밝혀내고 대책을 서둘려야 한다. 

울산 인구 문제는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지난 2015년부터 6년 연속 단 한 달도 거르지 않고 줄어들고 있다. 연도별로 보면 2016년 -7.622명, 2017년 -1만 1,917명. 2018년 -1만 2,654명, 2019년 -1만 172명, 2020년 -1만 3,584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울산은 80세 이상(+200명)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순유출됐다. 탈울산 행렬은 청년층에서 두드러졌다. 20대 청년층의 유출 인구가 5,500명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40~50대 2,900명, 30대 1,800명, 10대 1,400명, 60세 이상 1,100명 등 순이다. 나이가 젊을수록 울산을 떠나 수도권으로 향하는 비중이 높았다. 

울산을 빠져나간 전출자 가운데 부산이 2만 1,400명으로 가장 많다. 이어 경북 1만 6,800명, 경남 1만 3,700명 순으로 상위 1~3위를 차지했다. 울산으로 들어온 전입 인구는 부산 2만 2,500명, 경북 1만 7,000명, 경남 1만 6,800명 등으로 나타났다.

순유출의 이유도 분명하다. 직장이동이 6,400명(-6.4%)으로 가장 많았다. 일자리 때문에 울산을 떠나고 있다는 이야기다. 교육과 주택도 각각 4,000명(-4.0%)에 달했다. 이어 주거환경 900명, 자연환경 500명 순으로 조사됐다. 순유입은 가족(2,100명), 기타(100명)를 사유로 꼽았다.

문제는 앞으로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2030년경에는 울산의 경우 15세 이상 64세 이하의 생산 연령 인구가 현재 88만 명에서 51만 명으로 급감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2047년 울산 인구를 97만 명. 지금보다 20만 명 가까이 줄어든다는 예측도 나와 있다. 우울한 예측이지만 이대로 방치하면 광역시 위상도 흔들리게 된다. 

울산을 떠나는 이들이 늘어나는 문제는 단순한 사안이 아니다. 울산이 가진 현재의 문제도 있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미래의 문제와 직결된다. 전문가들의 진단을 살펴보면 젊은층의 감소 문제에서 주된 요인은 무엇보다 교육기관의 부족이 으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올해도 예외 없이 진학 때문에 울산을 떠나는 젊은층이 이어지는 상황이다. 

울산의 경우 대학은 종합대학교 2곳을 포함해 모두 5곳에 불과하다. 하지만 말이 5개지 실제로 학생들이 진학할 수 있는 지역 대학은 4년제 한곳에 전문대 2개가 전부다. 부산 25곳, 경남 23곳과 크게 비교된다. 종합대학교는 울산대학교와 유니스트밖에 없어 다양한 학과 개설도 쉽지 않다. 울산의 경우 지역 내 대학 입학정원은 5,800명에 불과하다.

그러다 보니 울산지역 고등학생들은 서울, 대구, 부산 등 전국으로 유학을 떠나고 있다. 2019년 기준 울산지역 고교졸업생 중 대학 진학생은 1만 1,000명가량이지만 3,500명만 지역 내 대학으로 진학하고 나머지 7,000명 이상은 타지역 대학으로 진학한 실정이다.

결국 이 같은 청년 인구의 유출은 지역의 미래경쟁력 약화를 야기한다는 점에서 대학유치를 요구하는 시민의 목소리도 커지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울산시는 청년인구 역외유출 방지 문제를 심각하게 보고 현재 육성 중인 신성장 산업에 필요한 전문 인력까지 대학 유치를 통해 직접 양성·공급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실제로 울산시는 관계 부서 합동의 대학유치 추진 TF를 구성하고 몇 차례 회의도 가졌지만 아직까지 성과는 보이지 않고 있다. 울산시는 이 문제와 관련해 울산시의 인력수요에 부합하는 학과 중심으로 다수 대학의 공동캠퍼스 설치 검토와 유치대상 대학의 선정기준 등을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문제는 정부의 의지다. 울산이 가진 다양한 문제 가운데 젊은층의 감소를 잡기 위한 대책은 바로 교육기관의 부족이라는 사실은 이미 알려진 바다. 울산이 후발 광역시라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 만큼 일반적인 잣대로 대학 증설을 제한하는 것은 옳지 않다. 인구감소의 기본적인 원인이 젊은 층 이탈에 있다는 점을 중시한다면 이 부분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