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 사랑 꾸러기'
'내 사랑 꾸러기'

초등학교 저학년 여름 방학 때의 일이다. 읍내 오일장을 다녀오시던 어머니 시장바구니 속에 새끼강아지 한 마리가 더위에 지쳐 축 늘어져 죽은 듯이 잠을 자고 있었다.
 "여름 장날에 해삼 사 들고 오면 다 녹아뿐다 카디만 강새이도 다 녹아뿌겠다. 네가 그렇게 소원하던 강아지 잘 키워보거라. 물부터 먹이고……." 라고 하시는 말씀이 끝나기가 무섭게 물 먹이는 것도 잊은 채 강아지를 끌어안고 온 동네 자랑하러 다녔다. 친구들의 부러운 눈빛 세례를 온몸에 받아 가며 해가 지도록 이 골목 저 골목 누비고 다니며 "한번 만지는데 딱지 한 장! 두 번 만지면 딱지 두 장……." 한 손에는 딱지 한 움큼 거머쥐고 한쪽 팔에는 축 늘어진 강아지 옆구리에 끼고 다니다가 어머니께 목덜미 붙잡혀 집에 질질 끌려오고 말았다. 

 "문디 아 낳아가 쭈물라 찍인다 카더니만 저래가 올케 키우겠나 쯧쯧쯧……." 그렇게 말씀하셨지만, 그 뒤로 강아지는 무럭무럭 건강하게 잘 자랐다. 나는 강아지의 누나, 강아지는 내 동생, 내 이름 끝자를 따서 옥동자라고 불렀고 어머니가 숯불에 고등어를 구우시면 몰래 훔쳐다가 먹이고, 소쿠리에 말리던 생선도 훔쳐다가 먹여 토실토실하게 살찌워놓은 나는 일등공신이다. 몸과 맘과 영혼을 다 받쳐 충성을 맹세한 사이인데 내 입에 들어가는 그 어떤 것을 나눠먹어도 하나도 아깝지 않았다. 

 그런데 다음해 어느 봄날, 학교에서 돌아와보니 대문 앞에서 늘 맞아주던 옥동자가 보이지 않았다. 옥동자 집도 사라졌고, 물그릇, 밥그릇도 사라졌음을 발견했다. 순간 30마이크로, 3만 암페어만큼 온몸을 타고 흐르는 이 좌절감의 전율, 머릿속 뇌가 뒤엉켜버린듯한 복잡한 생각과 힘이 빡 들어간 두 눈의 이글거리는 레이더광채, 걷잡을 수 없을 만큼 튀어 나가버리는 입술, 씩씩거리며 부엌으로 달려가 물어봤지만 묵묵부답, 방으로 달려가서 물어봐도 묵묵부답, 목에 핏대를 세워 핵폭탄을 던졌다. "사과 한 상자 값도 안 된다고 해놓고선 개는 왜 팔아! 차라리 밭에 가서 사과 한 상자 따서 팔면 될 것을……" 울고불고 바닥에 뒹굴며 한바탕 푸닥거리를 했는데도 부모님은 여전히 묵묵부답……. 세상을 다 잃은 듯, 한동안 하루에 서너 차례 상습적으로 우는 울보가 되곤 했었다. 밥도 먹는 둥, 마는 둥 눈앞에 옥동자만 아른거렸다. 오라버니 몸이 약해서 약해줬다는 이야기를 한참 후에야 들었지만, 마음의 병, 마음의 상처, 사무치는 그리움이라는 것을 너무 어린 나이에 경험했다. 필자의 추억담은 함축하여 써내려왔지만 더 쓰고 싶은 손끝을 다스려 필자가 읽은 강민숙 작가의 '내 사랑 꾸러기' 소개하려 한다. 책 펴낸 날이 1995년이다. 26년 된 책인데 보관을 잘못한 탓인지 100년 된 것처럼 누렇게 변색되어 표지 사진 찍기가 좀 민망하지만 겉모양 보다는 내용이 중요하기에……. 

아동문학가 서순옥
아동문학가 서순옥

 강민숙 작가는 1948년 경남 산청 출생으로 고신대학과 서울예술전문대학 문예창작과를 졸업하고, 경남매일신문과 한국일보 신춘문예 동화부문에  당선되어 '꿈꾸는 민들레' '꿈이 있는 아이는 울지 않아요' 등 그 당시(1995년) 저서를 남겼다. 50년을 넘게 글을 창작한 작가로서 지금은 많은 저서와 다양한 문학 활동을 하고 있지만, 필자는 오래된 책에 마음이 끌린다. 요즘 책은 기교가 다양하여 배울 점이 참 많지만 오래된 책을 마주하면 순수함에 빨려 들어가는 마법의 속으로 한참 동안 어릴 때의 추억에서 허우적거리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곤 한다. '꾸러기'라는 명사가 수백 번 넘게 나오는데 꾸러기는 개 이름이다. 동화 속 주인공은 반려견을 키우며 개와의 일상과 애환을 낱낱이 그려낸 그런 작품이다. 동물들의 언어나 표정은 읽을 수 없지만, 애정으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교감이랄까, 공감이라할까 그런 공감대의 느낌이 일치하는바가 크기 때문에 필자 또한 추억 한 자락을 또 소환했다. 내용이 길어져 한정된 공간에서 책 내용은 발췌하지 못했으나 지금 한참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감성과 인성을 불어넣어 줄 이 동화책을 적극 추천하고픈 맘이다. 아동문학가 서순옥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