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주 발생한 '태광산업 폭발 사고'로 인해 석유화학공단 인근에 살고 있는 시민들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잊을만하면 터지는 울산 공단 지역의 각종 사고는 이미 위험 수위를 넘어섰다. 사고가 나면 관계 당국은 합동조사를 벌이고 사고 경위와 함께 법적 위반여부를 조사하지만 며칠 지나면 그 뿐이다. 후속조치는 선언적 의미로 되풀이될 뿐, 근본적인 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

이번 사고도 소방서 등이 합동조사를 벌였지만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물론 폭발 현장에 대해 긴급사용정지명령을 내렸지만 후속조치는 아직이다. 이번에 발생한 태광산업 폭발사고는 폭발규모나 진동 등으로 인근 주민들에게 공포감이 됐다. 소방서에는 여천동에 위치한 이 회사의 2공장에서 2차례 걸쳐 발생했던 폭발 사고로 시민들의 신고 접수가 쇄도했다.

갑작스러운 두 차례의 굉음에 주민들은 '엄청난 폭발 소리를 들었다' '인근에 회사가 있는데 건물이 떨렸다' '운전 중이었는데 차가 흔들렸다' 등 당시 불안감을 실시간으로 공유하기도 했다. 특히 태광산업은 2012년에도 폭발사고를 일으켜 10여 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바 있다. 이 곳에서 사고가 또 다시 발생하자 시민들은 언제 또 터질지 모른다는 생각에 조마조마하다. 

이번 폭발사고에는 인명피해가 없었지만, 당시에는 불이 난 탄소섬유를 제조하는 공장 주위에서 작업을 하던 직원들 가운데 9명은 경상, 1명은 안면 부위에 3도 화상의 중상을 입는 등 피해가 컸기 때문이다. 화학공장의 경우 폭발사고가 터졌다하면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재산, 인명 피해를 비롯해 환경 피해 우려도 심각한 실정이다.

석유화학공단의 사고는 올들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달 초에도 남구에 있는 석유화학업체인 송원산업 매암공장에서 화학물질이 유출돼 소동을 빚었다. 당시 유출된 화학물질이 공기 중에 퍼지면서 매캐한 냄새를 풍겨 시민들의 악취 신고도 잇따라 접수됐다. 잊을만하면 터지는 사고가 아니라 언제나 사고가 공존하는 지역이 석유화학공단이 된 셈이다.

석유화학공단의 안전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대책이 절실하다. 노후 산단의 안전관리는 현 정부의 국정핵심 과제인 산업안전 공약과 궤를 같이한다는 점에서 국가적 문제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산단의 안전문제에 대해 광역단체에 실질적 관할 이양과 전폭적인 예산지원은 당연한 수순이다. 제도적 정비와 예산의 지원이 있어야 안전에 대한 체계적인 방안이 구축될 수 있다. 보다 전향적인 조치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