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는 한 채 집이었네
 
추창호
 
판소리 한 대목을 꺾어 넘는 물소리
자진모리장단을 치듯 추임새 넣는 바람소리
벗 삼아 별장 한 채가 날아갈 듯 서 있네
 
하루를 쪼개어가며 비지땀 흘렸어도
잔고 없는 내 몸은 물 먹은 솜뭉치
언제쯤 저런 집 한 채 기쁨으로 앉혀볼까
 
오늘 같은 어제를 새삼 다시 꺼내들면
아아 나는 한 채 경건한 집이었네
천지간 내가 아니면 짓지 못할 집 한 채
 
△추창호: 밀양 출생. 1996년 '시조와 비평' 신인상. 2000년 부산일보 신춘문예 시조부문 당선. 시조집 '낯선 세상 속으로' '아름다운 공구를 위하여' '풀꽃 마을' 울산시조문학상, 성파시조문학상, 울산문학상 수상, 울산문인협회장, 울산시조시인협회장 역임.

김감우 시인
김감우 시인

'아아 나는 한 채 경건한 집이었네' 책을 읽다가 이 구절에서 멈추었다. 호흡을 가다듬고 다시 가다듬어도 숙연해지고 아려오는 무언가가 날 붙들고 있다. 무엇일까. '아아'라는 감탄사가 이끌어가는 가락일까, 아니면 집이다가 아닌 '집이었네'라는 과거형일까. 이런 분석이 뭐 대수랴. 이미 그 문장이 내 몸 속에서 노래로 흐르고 있는 것을. 우리는 오늘도 '천지간 내가 아니면 짓지 못할 집 한 채'씩 짓고 있는 중이다. 누구도 대신 할 수 없고 함께 할 수도 없는 그런. 오래 다독여서 아주 단단하지만 허허롭기 그지없는 집을 이 시각에도 한 채씩을 짓고 있다. 그 집으로 비가 다녀갈 때도 있으리, 삶이 자주 비에 젖듯이. 오래 축축하게 스며들어 있다가 천천히 마르곤 했을 것이다. 

 시조 첫 수에서 시인은 날아갈 듯 아름답게 서 있는 멋진 별장 한 채를 바라보고 있다. 그 별장은 물소리가 판소리 한 대목으로 꺾어 넘고 바람이 자진모리장단으로 불고 있다. 무릉도원이 떠올려지는 아름답고 흥겨운 별세계가 아닌가. 누구나 꿈꾸는 행복의 대명사로 그려진다. 하지만 둘째 수에서 보면 하루를 쪼개가며 비지땀 흘려도 솜뭉치가 된 몸일 뿐 '저런 집 한 채'를 기쁨으로 앉히는 일이 어디 그리 쉬운가. 꿈같은 세상일 뿐이다.

 셋째 수에서 시인은 비로소 자신이 바로 집 한 채였음을 깨닫는다. 오늘 같은 어제를 새삼 다시 꺼내들고 서 보니 스스로의 삶이 경건한 집 한 채 짓는 일이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 깨달음은 '어제'를 다시 꺼내보고서야 오는 것, 그것도 '오늘 같은 어제'를. 지나간 삶을 반추해보는 일을 이리 명료하고 군더더기 없게 표현할 수도 있구나 싶다.
 사방 천지를 둘러봐도 누구도 함께 할 수 없는, 외롭고 쓸쓸한 집 한 채가 바로 자기 자신인 것, 그래서 그 집은 시인의 맑은 영혼이 깃들어 있는 곳이다.

 이 시(조)는 추창호 시인의 세 번째 시조집 '풀꽃 마을'에 실려 있다. 그는 표제 시 '풀꽃 마을'을 통해 한 번쯤 뿌리 내려서 살고 싶은 마을이 있다고 했다. 습하고 외진 터도 은총처럼 축복처럼 몸 낮춰 모여 사는 풀꽃들의 마을. 그 마을에 나도 '초대 받지 않아도 가'보고 싶어진다. 쇠비름 금강아지풀 애기똥풀 깽깽이풀, 앞을 다투어 피어날 풀꽃들의 향연이 시작되었다. '저마다 켜든 꽃불 타올라서 절창이 되는' 그런 풀꽃 마을에 가서 경건한 집 한 채로 오래 머물고 싶다. 이 봄날.  김감우 시인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