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중공업 골리앗 크레인. 울산신문 자료사진
현대중공업 골리앗 크레인. 울산신문 자료사진

이르면 5월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인수합병(M&A)의 최대 난관으로 꼽히던 유럽연합(EU) 기업결합 심사 결과가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득한 싱가포르·중국에 이어 EU 문턱을 넘으면,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합병이 8부 능선을 넘게 된다. 1개 국가라도 승인을 반대할 경우 기업결합이 무산되는 만큼 현대중공업은 모든 경쟁당국의 승인 판정을 고대하는 모습이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그룹은 2019년 4월 EU 기업결합 심사 사전심의를 시작으로 한국 공정거래위원회와 중국, 카자흐스탄, 싱가포르, 일본 등 총 6개국에 차례로 기업결합 심사를 신청했다. 이들 기업결합 심사는 반환점을 넘어선 상황. 먼저 카자흐스탄 경쟁당국이 2019년 10월 29일 기업결합을 승인했고 이듬해 8월 싱가포르가, 같은해 12월 중국이 각각 기업결합을 승인했다.

남은 관문은 EU와 우리나라, 일본이다. 가장 큰 고비로는 EU가 꼽힌다. 이해관계가 첨예한 EU 기업결합 심사는 두 회사 합병의 최대 난관이다. 

EU는 경쟁법이 가장 엄격한 데다 조선사의 주 고객인 주요 선사가 몰려있다. EU의 승인 여부가 이번 기업결합을 사실상 결정 짓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이유다. 최종 결정일은 지난해 세 차례 미뤄졌으며 7월 13일 이후 심사가 코로나19 사태로 일시 유예된 상황이다. 

다만, 지난해 6월 EU 집행위원회가 내놓은 중간심사보고서를 보면 EU는 LNG선의 독점 여부 심사만을 남겨뒀다. EU는 대우조선해양 인수 시 한국조선해양의 시장점유율이 20% 넘게 커지는 점을 우려하며 특히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시장의 독점 여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싱가포르 경쟁당국이 기업결합 심사에서 2단계까지 간 이유와 동일하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EU의 경쟁법이 더 엄격하긴 하지만 싱가포르가 한국의 삼성중공업이나 중국 CSSC·COSCO 등 경쟁 조선사를 고려해 승인을 내줬듯 EU도 비슷한 결론을 내릴 것이란 긍정적인 전망이 나온다. 

그 시점은 이르면 오는 5월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중공업이 중소 조선사에 기술이전을 했고 최근 중국이 액화천연가스(LNG) 선박을 수주하면서 EU가 제기했던 한국 조선업의 LNG선 시장 독점 우려가 일정 수준 해소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또 지난해 싱가포르 정부가 "조선업은 입찰자 중심이기 때문에 시장 점유율만으로 시장 지배력을 평가할 수 없다"며 양사 합병을 승인한 점도 EU 심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EU에서 승인을 받으면 일본과 한국 정부도 큰 이견 없이 승인을 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EU 결과가 나오면, 한국 공정거래위원회도 결론을 내릴 것이란 예상이다. 일본 공정취인위원회도 지난해 2월 본심사를 개시한 데 이어 그 다음달 2단계 심사에 돌입한 만큼 상반기 안에 결과를 내놓을 가능성이 크다. 다만, 일본 정부가 조선업 구조조정 차원에서 이뤄진 기업결합의 규범 위반을 이유로 한국 정부를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한 것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각 나라의 승인이 나면,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 지분을 현대중공업의 조선사업 중간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 지분과 맞교환할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산업은행은 한국조선해양의 2대 주주가 되고 대우조선은 현대중공업과 함께 그룹 자회사가 돼 하나의 회사처럼 운영된다. 산은은 지분 맞교환으로 보유하게 될 한국조선해양 전환주 912만 주(1조 2,500억 원 규모)를 5년 내 매각 대금으로 청구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권오갑 현대중공업지주 회장은 지난달 25일 제4기 정기주총에서 대우조선해양 인수에 대해 "올해 안에는 모든 절차가 아무리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권 회장은 "대우조선해양 인수는 한국조선해양,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등 조선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회사는 물론이고 우리나라 조선산업 전체에도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이라며 "현대중공업지주도 한국 조선 산업의 재도약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시너지 창출 등 다양한 분양에서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미영기자 lalala4090@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