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은행
모바일뱅킹 등 이용 확산 내점 고객 줄어
지역 시중 은행들, 지난해 점포 9곳 정리
비대면시대 인력·창구 감소 지속 불가피

'은행은 몸집 줄이고 커피전문점은 몸집 불리고',

코로나19로 대표적으로 달라진 울산 상권 지도다. 울산에 은행은 133개점 영업 중으로 지난해 9곳이 폐점했다. 반면, 커피점은 지난해 한 해 동안 지역에 200개 넘게 창업했다.

13일 금융감독원·은행연합회에 따르면, 2020년 말 기준 울산의 은행 점포(지점+출장소) 수는 133개점으로, 1년 전보다 9개점이 줄었다. 국민은행과 경남은행, 신한은행 등이 울산에서 영업점을 닫았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울산은 2019년 말 142개에서 작년 말 133개로 9개(6.3%) 줄어, 은행 점포 감소율로는 인천, 대전, 부산에 이어 전국 4위를 차지했다. 은행점포의 축소 배경은 비대면 금융거래 확대를 꼽는다. 코로나19로 모바일뱅킹 등 비대면거래가 확대되고 은행들도 같은 지역 내 중복된 점포를 대폭 정리한 영향이다.

지역은행 한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점포 고객 감소가 가속화됐다"며 "금융 관련 기술 발달 등으로 이미 인력은 매년 줄고 있어 향후 문을 닫는 점포 수 또한 지속적으로 늘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해 말 국내 은행의 점포(지점·출장소) 수는 총 6,405개로 2019년 말과 견줘 304개 줄었다. 30개 점포가 새로 생겼고 334개 점포가 폐쇄됐다. 지난해 점포 수 감소 폭은 2017년(312개) 이후 최대치다. 점포 수 감소는 2018년엔 23개, 2019년엔 57개였다.

지난해 은행 점포 감소율이 가장 큰 곳은 인천시였다. 인천의 은행 점포는 2019년 말 317개에서 작년 말 289개로 28개 줄어 8.8% 감소했다. 이어 대전시(176개→161개·-8.5%), 부산시(566개→524개·-7.2%) 순이었다. 그 뒤를 서울특별시(2,063개→1,948개·-5.6%)가 이다. 은행별로는 국민은행이 지난해 점포 83개의 문을 닫아 폐쇄점포 수 1위를 기록했고 부산은행은 22개, 경남은행은 14개가 폐쇄됐다.

비대면으로 은행업무를 보는 고객이 많아지면서 점포가 줄어드는 현상은 불가피할 것이란 관측이다. 
 

● 커피전문점
제과·주점 등 식음료업 대부분 타격 불구
커피전문점 1년새 14%↑ 204곳 신장개업
상대적 영업제한 적고 창업 접근성 등 장점

울산에서 커피전문점은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창업이 활발했다. 

국세청의 '등록 사업자 현황자료' 분석결과, 지난 1월 기준 전국 커피음료점은 7만 1,906곳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5% 불어났다. 커피음료점은 지난해 1월 국내에서 코로나19 확산이 시작된 후 먹거리와 관련한 19개 업종 가운데 사업체의 늘어나는 속도가 가장 빨랐다. 

울산에 영업 중인 커피음료점은 1,656개로 일 년 전보다 14.1% 늘었다. 1,452점에서 204개 커피점이 더 문을 연 것이다. 

전국적으로는 제주에서 커피전문점이 284곳 창업하면서 1,517곳으로 전국 1위 증가율(23%)을 나타냈다. 이어 전남(22.3%), 광주(20.8%), 경남(18.9%), 강원(16.7%), 세종(16.4%) 등 전국 광역시도 모두 커피점 창업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커피점이 고용시장이 안 좋은 상황에서 퇴직자 등이 비교적 쉽게 창업할 수 있는 업종으로 꼽혀서라는 분석이다. 대면 서비스업이지만 상대적으로 영업시간 제한 등이 심하지 않았던 점이 작용했을 가능성도 있다.

반면, 일반음식점, 제과점, 주점 등 울산지역 대부분의 식음료 자영업은 타격을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울산시가 발표한 2020년 지역 식품위생업소 신규·폐업 영업 실태를 조사·분석 결과를 보면, 이전 5년(2015~2019년) 평균과 비교해 개업은 2%(2,449곳) 줄고, 폐업은 2%(1,757곳) 늘어 경기지수 감소 폭이 4%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유흥업소가 개업 59% 감소, 폐업 46% 증가로 경기지수가 105% 감소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다음으로 제과점과 위탁급식의 경기지수가 각각 36% 줄어 뒤를 이었고, 집단급식소 33%, 단란주점 23%, 일반음식점 4% 감소했다. 단란주점은 개업이 73% 줄었으나 폐업 또한 50% 줄어 전체적인 경기지수 감소 폭도 다소 줄었다.  김미영기자 lalala4090@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