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교수노동조합 등 7개 단체가 최근 '지방대학 위기 정부 대책 및 고등교육 정책 대전환 요구' 기자회견을 열고 고등교육재정의 획기적인 확충 방안을 요구했다.

심각한 저출산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로 신입생 충원율이 떨어지고 등록금 수입도 줄어 위기감이 상승하는 데 따른 고육지책이다. 이는 시민들에게도 결코 예사롭지 않은 문제다.

대학교는 도시 발전의 밑거름이 되는 만큼 지역 대학교가 위기를 맞게 된다면 인구감소를 보이는 울산시의 위축도 불을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유학생마저 줄어들고 있어 울산시를 세계 속에 부각시키는 효과도 감소할 게 분명하다.

교수노조는 교육부 통계를 인용해 지난해 대학 입학정원인 48만명을 계속 유지할 경우 오는 2024년 추정 입학생은 37만3,000명으로 감소해 11만명의 입학생 부족 사태가 올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을 내세우고 있다.

특히 울산의 경우 2011년 9,058명이던 입학생이 10년만인 2020년 기준 8,249명으로 줄어 9%(810명) 하락했다고 밝혔다. 이 기간 부산은 18% 줄었고, 경남은 무려 25%(8,500명)의 감소 폭을 보였다. 정말 걱정스러운 일이다. 

더 큰 문제는 이처럼 학생이 줄어드는데도 지방대 국가 재정 투입 규모는 수도권과 비교해 반 토막 수준이라는 데 있다. 설상가상이 아닐 수 없다. 사립대학을 기준으로 2018년 기준 서울 수도권 대학에는 학생 1인당 2,176만원의 재정이 투입됐지만, 울·부·경 대학의 경우 1,458만원으로 62%에 그쳤다. 교수노조가 정부 정책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물론 지방대학들이 이 같은 위기 상황에서 마냥 손 놓고 있는 것만은 아니다. 학생 모집을 위한 갖가지 묘책을 짜내고 있다. 신입생을 대상으로 장학금을 지급하거나 기숙사 입사 보장 등 다양한 혜택을 제시하며 학생 미달 사태를 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하지만 이런 노력만으로는 신입생 충원이 쉽지 않다는 게 학교 당국의 설명이다. 

결국 지방대들이 생존을 위한 자구 노력도 중요하지만 수도권과 지방의 대학이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울산시 등 지자체와 지역정치권·시민들이 함께 나서 지금의 위기를 벗어날 수 있도록 새로운 교육생태계 구축에 나서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