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주군은 신고리 4호기 터빈실 화재와 관련해 울주군 원전 관련 공무원과 원전인근 지역 마을 이장 등은 31일 오후 3시 한수원 새울원자력본부 글로벌센터 회의실에서 이상민 본부장 등 새울본부 관계자와 긴급회의를 갖고 원전 관련 대민 정보 전달체계 개선을 요구했다. 울주군 제공
울주군은 신고리 4호기 터빈실 화재와 관련해 울주군 원전 관련 공무원과 원전인근 지역 마을 이장 등은 31일 오후 3시 한수원 새울원자력본부 글로벌센터 회의실에서 이상민 본부장 등 새울본부 관계자와 긴급회의를 갖고 원전 관련 대민 정보 전달체계 개선을 요구했다. 울주군 제공

신고리 4호기 화재로 인한 터빈 정지와 관련해 울주군 등 원전 인근 지역 지자체들이 철저한 사고 원인 규명과 책임 소재 규명 등을 촉구하고 나섰다.

# 한수원 "안정화 조치 후 즉각 신고"
울주군은 신고리 4호기 터빈실 화재와 관련해 울주군 원전 관련 공무원과 원전인근 지역 마을 이장 등은 31일 오후 3시 한수원 새울원자력본부 글로벌센터 회의실에서 이상민 본부장 등 새울본부 관계자와 긴급회의를 갖고 원전 관련 대민 정보 전달체계 개선을 요구했다.

울주군과 마을이장 등은 "원전 인근지역은 마을 방송망이 갖춰져 있기 때문에 주민이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에 대한 정보의 긴급 전파가 중요하다"면서 "방사선 비상 경보방송망도 비상 상황이 아닌 긴급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는 지침이 수립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와는 별도로 전국 16개 지자체로 구성된 전국 원전동맹도 31일 공동성명서를 내고 신고리 4호기 화재 발생과 관련해 철저한 사고원인 규명과 책임소재 규명을 요구하고 나섰다.

전국원전동맹은 "태풍으로 인한 원전6기 가동중단, 월성원전 삼중수소 검출, 후쿠시마 원전의 오염수 해양투기 계획발표 등으로 원전 인근지역의 안전이 매우 위협받고 있는 상황에서 신고리 4호기의 화재발생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금할 길이 없다"면서 "신고리 4호기는 지난해 계획예방정비까지 마쳤으며, 가동된 지 2년도 안 된 최신 원전인데도 불구하고 지난해 폭우로 인한 송전설비 침수에 이어 화재까지 발생한 작금의 상황을 어떻게 이해해야 될지 알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또 "화재진화는 1분 1초가 급한데도 불구하고 19분이 지난 시점에 화재발생 신고를 했다"며 "진화까지 1시간이나 걸렸는데도 원전사업자인 새울원전은 '화재가 곧바로 진화됐다'라고 발표해 원전안전에 대한 불감증이 얼마나 심각한지 짐작할 수 있다"고 규탄했다. 

# 원전동맹 "책임소재 따져야"
전국원전동맹은 또 "사고발생 3일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사건·사고 원인 파악도 제대로 되지 않고 있어 원인규명과 조치 후 정상운전 시점까지 상당한 시일이 소요 될 것으로 예상돼,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국민들이 떠안아야 하는 실정이다"고 지적하고, "최대한 빨리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책임소재를 명확히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국 원전동맹은 지난 2019년 원전 소재지가 아닌 원전 인근 기초지자체 16곳으로 구성됐다. 부산 해운대·금정구, 울산 중·남·동·북구, 전남 무안·함평·장성군, 전북 부안·고창군, 경북 포항시·봉화군, 경남 양산시, 강원 삼척시, 대전 유성구 등이 가입해 있다. 소속 주민이 314만명에 달한다.

한수원 새울원자력본부는 신고리 4호기 터빈 정지와 관련해 일부 언론의 사고 발생에 대한 소방당국에 대한 신고 지연과 늑장 안내에 대한 지적에 대해 "화재로 발생과 함께 원자로 및 터빈 계통의 안정화 조치를 최우선적으로 시행한 다음에 지체없이 외부소방대에 신고하는 등 신고 지연은 없었고, 최초 사고 인지 이후 지자체 민간환감시기구 등 관계기관을 대상으로 20여 분만에 비상 통보됐다"고 밝혔다. 또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대량 SMS 알림까지는 화재진압 안전조치 및 사고 경위 파악 등으로 인해 일정시간이 소요됐다"고 해명했다.

한편 새울본부측은 "현재 원전사고 등과 관련한 대량 문자(SMS 알리미) 발송 대상은 문자 발송 제공을 희망하는 지역주민 5,300여명에게 전달되고 있다"면서 "SMS 알리미, 서비스 가입자 확대를 위해 울주군 12개 읍·면 행정복지센터에 가입 협조 공문을 방송하고, 자매마을 및 각종 지역행사시 가입을 권유하는 등 노력을 기울여왔지만 개인정보인 실명과 전화번호의 제공 동의 등을 꺼려해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가입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고 설명했다.  전우수기자 jeusda@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