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재훈 편집국장
조재훈 편집국장

"우리 집이 불타고 있습니다. 저는 여러분이 자기 집에 불이 났을 때 하듯 지구에 난 불을 끄길 원합니다" 

스웨덴의 10대 환경 운동가 그레타 툰베리가 지난해 다보스포럼(세계 경제 포럼)에서 기후 위기에 대해 한 말이다. 한마디로 "살려 달라"는 다급한 외침이다. 

2015년 파리협정은 지구온도 상승을 2도 이하로 유지하고 온도 상승폭을 1.5도 이하로 제한한다는 협약을 맺었다. 이어 2018년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는 지구 온도 상승을 1.5도로 제한해야 한다는 '1.5도 특별 보고서'를 발표했다. 그 이상으로 기온이 올라가면 폭염과 혹한, 태풍, 초대형 산불과 같은 생태계 파괴를 일삼는 기후재난은 물론 물부족 사태, 식량 위기 등으로 인해 인간의 생존 자체가 위험해진다고 경고했다.

안타깝게도 지구 온도는 이미 1도 더 상승한 상태다. 우리에게 남은 상승 여력은 이제 0.5도, 이 0.5도만 더 상승해도 지구생태계와 인간은 사라질 것이라는 예고다. 현재와 같은 상승 속도라면 앞으로 10년도 채 안 돼 1.5도 마지노선에 도달하게 될 것이라 한다. 절박한 위기감이 코앞에 도사리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 10월 28일 우리 정부가 발표한 '2050 탄소중립선언'도 이와 맥을 같이 한다. 그저께 막을 내린 환경 분야 다자정상회의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도 마찬가지다. 특히 '기후악동' '녹색 악동'이라고 불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세계 정상들이 모인 것도 또 다른 의미가 있어 보인다.

그만큼 위급한 사정을 함축하고 있을 법도 하다. 이들은 '포용적 녹색 회복을 통한 탄소중립 비전 실현'을 주제로 화상회의를 가졌다. 기후 행동을 요구하는 미래세대의 목소리를 담아낸 개막 영상은 울림이 컸다. 바로 지금 이 순간이 탄소중립 실현을 통해 지속 가능한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마지막 기회임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씁쓸한 뒷맛도 외면할 수 없다. 정부는 지난 3년간 '탈원전' 정책을 펼친답시고 여의도 면적 17배나 되는 산림을 무차별 훼손했다. 임야 곳곳은 온통 태양광 패널로 뒤덮여 있다. 더욱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2050 대한민국 탄소중립 선언'의 목표 달성을 위해 '오래된 나무'를 베어내고 그 자리에 어린나무 30억 그루를 심어 향후 30년간 3,400만t의 탄소를 흡수하겠다는 점이다.

삽화 ⓒ왕생이
삽화 ⓒ왕생이

침엽수는 수령 30년, 활엽수는 20년이 탄소를 최대로 흡수하는데 이보다 더 나이가 든 나무는 흡수 능력이 떨어져 베어내는 대신 그 자리에 매년 평균 1억 그루씩 어린나무를 심겠다는 거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의 순 배출량을 제로로 만들기 위한 것을 명분으로 삼고 있지만 설득력은 크게 떨어진다. 산림 전문가 등을 중심으로 '황당한 발상'이라는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모순의 결정체는 또 있다. 국내에서는 안전 문제로 '탈원전' 정책을 강하게 밀어붙이면서 해외에서는 원전 수출을 하겠다는 현 정부의 행보다. 이미 한미 정상은 원전 사업 공동 참여를 포함해 해외원전시장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국내 원전 생태계를 살리기 위한 '투 트랙'으로 진행하는 정책이라고 선을 긋고 있지만 나라 안팎의 사정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국민이 어떻게 받아들이느냐가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왜냐하면 환경실천운동은 기업과 시민의 적극적인 지지가 뒷받침될 때 비로소 실현 가능하기 때문이다.

울산시도 지난 2월 미래 세대를 위해 올해를 '2050 탄소 중립 도시 울산' 원년으로 선포했다. 수소 산업 육성과 부유식 해상풍력단지 조성으로 기존 화석 연료 중심의 에너지 체계를 친환경 저탄소로 전환해 나가겠다는 게 핵심이다. 하지만 오랜 세월 산업과 경제 구조가 탄소에 의존해 왔다. 향후 30년 만에 탄소 배출을 제로로 만드는 게 매우 어려운 이유도 여기에 있다.

무엇보다 '탈원전'과 '탈석탄'이 함께 성공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본다. 이상과 현실의 격차가 매우 큰 탓이다. 그 자체가 '이율배반'이고 '자가당착'의 오류에 빠지기 십상이다. 만약 잘못된 정책이라고 느낀다면 과감하게 방향을 전환하고 수정할 것은 서둘러 수정하는 용기도 필요한 법이다. 그런 지도자를 국민은 바라고 있다.

'수미산은 높아 봉우리가 보이지 않고 / 바닷물은 깊어 바닥이 보이지 않네 / 흙을 뒤집고 먼지 털어도 머무를 곳 찾지 못하여 / 머리 돌려 부딪치니 바로 자신이로다'

선림유취(禪林類聚) '간경문(看經門)'에 실린 남당정(南堂靜)의 시다. 마지막 구절이 그 유명한 '자가당착(自家撞着)'이다. 무슨 일이든 이치에 맞지 않고 모순되는 경우는 피하는 게 옳다. 적어도 미래 세대에게 우리의 짐을 떠넘겨주는 우를 범하지 말아야 하겠기에 하는 말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