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 지역혁신을 위한 기초체력 강화를 주문한 보고서가 나와 주목된다.

울산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울산경제사회브리프에서 시민행복연구실 김혜경 박사는 "울산 주력산업과 신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기존 산업 체질을 바꿀 힘이 확충될 때까지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와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밝혔다. 지역경제의 구조와 체질을 바꾸기 위해서는 혁신이 쉽게 일어날 만한 환경적 요인을 갖춰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돼 공감을 갖게 한다.

울산시는 현재 인력, 조직, 지식자원이 여타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게 사실이다. 정부의 R&D 투자 또한 미흡하다는 얘기가 있다. 투자 규모와 지식성도 전국 최저 수준이라고 한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연구원과 조직 규모가 전국평균 지수의 4분의 1 이하 수준이라는 점을 들고 있다. 

하지만 긍정적인 측면도 보인다는 게 참 다행이라는 생각이다. 최근 5년 동안 울산시의 과학기술 예산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지식축적 활동의 자양분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지난해 울산시 재정투자를 살펴보면 이 같은 사실이 잘 드러난다. 총예산 중 과학기술 예산 비중이 1점 만점에 0.78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전국평균이 0.37인 것과 비교하면 2배가량 많은 셈이다. 그나마 고무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부분이다.

따라서 해결책에 더욱 관심을 끌게 된다. 김 박사는 무엇보다 고급인력 확보가 관건이라고 했다. 특히 중소기업에 종합, 전문 기술 컨설팅을 제공하고 이와 연계된 R&D 지원 사업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기술했다. 지역 장기 경제성장을 이끌 기술 진보를 위해서는 중소기업 기술 개발에 필요한 연구인력의 지속적인 공급이 뒷받침돼야 하며 연구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제는 모든 면에서 새로운 성장정책이 나와야 할 때다. 파급력 있는 기술개발과 창업 활성화로 사업화율을 반드시 높여야 한다는 김 박사의 주장에 울산시가 실천으로 응답해야 할 시점이다. 신산업 분야에 기술지식을 축적한 외부기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R&D 기획 단계부터 기업 수요를 반영해 사업화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체계화해 울산의 미래를 담보할 수 있었으면 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