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래를 책임질 청년들이 단기 아르바이트에 내몰리다가 그 일자리마저 끊어지면서 구직 의욕마저 상실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어 걱정이다. 코로나 사태로 꽉 막힌 취업문 탓에 아예 구직활동을 포기하거나 '그냥 쉰다'는 구직단념자들이 급증하고 있다는 뜻이다. 경제 활성화는커녕 점점 악화하는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만 잇달아 드러나는 꼴이라서 더욱 우려스럽다. 

동남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올 6월 울산지역 경제활동인구는 56만 9,000명으로 일년 전보다 1만 9,000명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39만 3,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4% 늘어난 1만 6,000명으로 나타났다. 사상 최대치 비경제활동인구라고 한다.

이는 취업을 했다가 그만두거나 일자리 구하기를 포기·단념한 사람들이 사상 최고 수준으로 늘어났음을 말한다. 이 때문에 지난달 울산에선 취업자도 줄고 실업자도 감소하는 브조화 현상이 나타났다. 

그나마 여성에겐 경력단절 여성 지원부터 무상보육에 이르기까지 과잉복지라는 지적이 나올 정도로 포괄적 고용지원책이 동원되고, 또한 노인에게도 다양한 공공일자리 창출 및 고용지원금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는 점은 반길 일이긴 하다.

하지만 이러한 사회 분위기는 결국 청년층의 일자리 미스매칭만 야기시키는 부작용이 동반된다는 게 문제다. 핵심 노동 연령층인 청년 취업 촉진은 불황에 따른 양질의 일자리 감소, 구직자들의 비현실적 일자리 눈높이, 중소·벤처기업 일자리 창출 부진 등으로 이어진다는 의미다.

무엇보다 생애 중 가장 활발하게 활동할 시기이고, 새로 가정을 이룰 출발선에 있기도 한 청년세대의 일자리 문제는 여타 근로계층의 그것보다 해결이 시급하다. 경기 부양과 서비스·정보기술(IT) 산업 등 창조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확대로 돌파구를 연다는 계획이지만 이 또한 지지부진하다. 

따라서 사태가 더욱 악화하기 전에 청년 취업을 촉진할 정책이 절실하다. 여성과 노인, 청년을 아우르는 취업 지원책의 우선순위를 재검토해 청년 취업에 중점을 두는 접근법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