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무 생각도 없을 것이다
 
이규리
 
어미 새가 먹이를 물어 새끼들 부리에 넣어줄 때
 
한 마리씩 차례대로
 
새끼는 새끼대로
노란 주둥이를 찢어질 듯 벌리고 기다릴 때
 
그 외 아무 생각도 없을 것이다
 
노랑이나 목숨은 
입구가 단단하여
 
절명이 그렇게 온다면 
 
입을 벌리고 한 생각만 집중한 채
 
그렇다면 한 생을 
정확하게 전달했는가 
 
나는
 
▲ 이규리: 1994년 '현대시학' 등단. 시집 '앤디 워홀의 생각' '뒷모습' '최선은 그런 것이에요'. 산문집 '시의 인기척' '돌려주시지 않아도 됩니다'
 
이 시에 나의 감상을 보태는 일이 사족 같다. 생은 무엇인가에 대한 무수한 질문으로부터 선명한 획 하나를 긋고 있다. 여운이 묵직하게 울려 퍼지고, 그 종소리 속에 내 마음을 앉혀 오래 두고 싶어진다.

 번잡하고 어수선한 하루가 갔다. 다시 온다. 말의 홍수 속에서 일의 홍수 속에서 정작으로 내 자신을 돌아다보고 삶을 성찰하는 시간을 갖지 못한 채 하루 위에 또 하루가 포개지면서. 나의 외로움과 나의 허기를 직면하는 시간이 생략된 채. 결국은 부질없는 일에 매달려. 

 '그 외 아무 생각도 없을 것이다'라는 한 문장이 얼마나 많은 절벽을 건너서 내게로 온 것일까를 생각한다. 이 말의 대단한 생명력은 다른 말과 사유를 다 지우고서야 살아나는 것. 
 얼음망치처럼 나의 속도를 해체시키고 번잡함도 다 제거해버리는 힘이라니. 이 곳 저 곳 기웃거리며 허공에 흩뿌린 나의 말들이 먼저 사라진다. 경계 없이 달려 나가던 마음도 생채기낸 시간도 멍하니 풀어지면서 생이 말끔해지는 느낌.  

김감우 시인
김감우 시인

 그리고 마지막 연이 압권이다. '나는'이다. '당신은'이 아니고 나는! 
 '절명이 그렇게 온다면 한 생을 정확하게 전달했는가'라는 질문의 끝을 자신에게로 향함으로써 시가 더욱 깊게 완성되는 것을 본다. '나는' 대신에 '당신은'이라고 했으면 어땠을까. 그 높은 톤에 고요가 깨지지 않았을까.
 시월이다. 질문을 더 많이 만들어내는 계절, 침묵 너머의 세상에서 들려오는 미세한 소리를 향해 귀를 열어둔다. 무언가 새로운 낌새에 촉을 집중한다. 나에게로 다가오는 고요의 맨살을 만져볼 수 있기를. 점점 길어지는 새벽에 깨어 어둠 같은 '나'를 만날 수 있기를.  
 김감우 시인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