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와 농어촌의 의료서비스 격차가 심각하다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전반적인 의료수준은 점점 높아지고 있으나 수도권과 지방의 의료서비스 양극화는 갈수록 심화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큰 병이 나면 먼저 서울의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아 보라고 권유하는 게 다반사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생명과 건강증진에 필수적인 의료서비스 공백과 지역 간 격차를 줄이는 일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럼에도 아주 기본적인 여건만 비교해 보더라도 확연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지방의 상대적 박탈감은 커질 수밖에 없다.

보건복지부가 최근 국회에 보낸 광역자치단체별 병상 수 자료에도 이 같은 현상이 확연히 드러난다.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의 병상 수 증가율은 서울 4.7%, 경기 6.8%, 인천 7.5%로 나타나 전국 평균보다 웃도는 수치를 보였다. 이에 수도권 병상 수 비중은 2017년 35.8%에서 올해 상반기 37%로 상승해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었다. 반면 울산의 경우 2017년 1만 5,502개에 달했던 병상수는 올해 6월 기준 1만 5,359개로 오히려 0.9% 감소했다.

또한 보건복지부와 심평원이 공표한 '2019년 기준 의료서비스 이용 현황'에서도 서울(20.3일)과 경기(21.6) 지역의 외래진료가 가장 빈번히 이뤄지고 있고, 병원에 입원한 재원일수도 수도권은 전국 평균일(16.8일)보다 적었다. 울산지역의 재원일수는 17.4일로 평균을 간신히 넘겼지만 의료서비스 경험의 질적 차이가 현저함은 명확해 보인다.

지역에 따른 의료서비스 격차는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보장해야 하는 국가의 기본적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울산의 열악한 의료서비스 실태는 특히 환자를 뒷바라지해야 하는 가족들에게 큰 부담과 희생을 요구한다.

이는 지역에 정착하는 것을 망설이게 하거나 탈울산의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 의료서비스는 신분이나 소득, 거주 지역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보편적으로 평등하게 제공돼야 함은 말할 것도 없다. 정부는 이제라도 지역 특성과 수요에 맞는 의료기관 유형과 병상의 공급을 조절해 차별없는 의료서비스 접근성을 보장하는 데 지혜를 모아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