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 17개 시·도와 러시아 극동·북극 지역 18개 지자체 등에서 관계자 800여 명이 참여하는 '제3차 한·러 지방협력 포럼'이 내달 3∼5일 사흘간 울산에서 열린다. 한·러 지방협력포럼은 한국과 러시아 양국 정상 간 합의로 출범했다. 지난 2018년 경북포항, 2019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각각 1·2차 포럼을 개최하는 등 양국 도시에서 매년 번갈아 개최된다. 올해 울산에 이어 내년 4차 포럼 개최지는 러시아 사할린주로 확정됐다. 한·러 지방협력 포럼의 위상과 지향점을 가늠케 하는 대목이다. 


 울산시는 '한국-러시아 30년, 극동과 북극을 세계의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이번 3차 행사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소식이다. 그저께 열린 보고회에서는 외교부, 한국무역협회, 시 관련 부서 관계자가 참석해 포럼의 실행계획에 대한 프레젠테이션, 관계 기관과 부서의 추진 상황 보고, 의견 청취와 토론 등을 통해 주요 의제와 진행 과정은 물론 코로나19 방역 대책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했다고 한다. 


 특히 이번 포럼에서는 양국 지자체 간 경제·통상·교육·과학·문화·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포괄적 교류 확대는 물론 북극항로 개설을 위한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양국 간 사업 관계망 구축 등 다자간 경제협력사업을 구체적으로 협의할 것으로 보여 철저한 계획과 빈틈없는 준비가 필수라 여겨진다. 무엇보다 러시아 북극 지역 참가 지방자치단체 확대에 따른 '한·러 지방협력포럼 설립에 관한 양해각서' 개정과 '울산선언문'의 도출을 이뤄내야 하는 과제도 남아있다.


 무엇보다 이번 포럼의 의미가 남다른 것은 러시아 북극 지역 7개 지자체가 추가로 참여해, 극동을 넘어 콜드러시(Cold Rush·북극해 자원 확보 경쟁)가 이어지는 북극까지 포럼의 확장성을 확보했다는 데 있다. 규모도 역대 최대라는 점이 기대감을 더욱 높인다. 하지만 실효적 성과로 이어지지 못한다면 면피성 전시행정이란 비난에 자유로울 수 없게 된다. 울산시가 지역의 자존심을 걸고 이번 포럼이 성공적으로 치러질 수 있도록 만반의 태세를 갖춰야 하는 배경이 여기에 있다. 기대효과에 대해 면밀하고 상세한 분석도 필요해 보인다. 시대적 명분과 사회적 공감대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도록 서로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짜내야 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