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혜원 사회부
정혜원 사회부

최근 환경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급격히 변하는 기후에 대한 불안감과 더불어 후세들에게 지속가능한 환경을 물려줘야 한다는 생각 등 다양한 이유에서다.

행정이나 기업에서는 환경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여러 사업들을 시행하고 있다. 일상에서 환경보호에 동참할 수 있는 것부터 대규모 사업까지 천차만별이다. 

필자는 예산이 수백 억원씩 들어가는 사업도 중요하지만, 시민들 개개인이 환경보호에 관심을 가질 수 있고, 실천할 수 있는 인식을 끌어올려주는 것이 가장 우선시 돼야한다고 생각한다. 대형 사업만 펼쳐놓고 실질적으로 동참하는 주체 대상자가 없다면 아무 소용이 없기 때문이다. 

이 일환에서 본다면 울산에서 매년 시행하고 있는 재활용 자원교환사업이 시민들이 일상에서 환경보호 실천을 할 수 있는 하나의 매개체로 볼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최근 울산 지역 곳곳에서는 '재활용 자원 교환사업'이 잠정중단됐다.

폐건전지, 종이팩 등을 새건전지 혹은 화장지로 교환해주는 사업인데, 시민들이 손쉽게 폐자원의 재활용에 동참할 수 있고, 환경을 지키는데 일조할 수 있다.

이 사업이 예산 부족 문제로 매년 한시적으로만 시행된다는 소식이 안타깝다. 자원 선순환에 대한 시민들의 호응도는 높아지고 있지만, 행정의 뒷바침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시민들의 참여도가 높아 매년 하반기에만 되면 교환품이 동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투입되는 예산보다 훨씬 많은 실수요자가 있는 셈이다. 이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각 동행정복지센터 직원들도 입모아 말하고 있다. 주민들도 많은 참여를 원해 동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고 있지만 아쉬운대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실수요자가 지역에 많은 곳에 우선적으로 예산이 배치돼야 하는 것도 당연하다. 

그러나 울산시는 몇 년 전부터 시행하고 있던 관례대로 각 기초자치단체에 사업 예산을 지원하고 있는 듯하다.

울산에서 인구가 3번째로 많은 북구가 시의 예산 지원이 제일 적은 수준인 것을 보면 실수요자가 어느 정도 되는지 파악을 못하고 있는 모양새다. 시민들이 환경 실천에 동참할 수 있도록 적재적소에 예산을 배치하기 위해선 울산시의 관심이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