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평생교육이란 학교의 정규교육과정을 제외한 학력 보완교육, 성인 기초·문자해득 교육, 직업능력향상 교육, 인문교양 교육, 문화예술 교육, 시민참여 교육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활동을 말한다.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로 자신의 능력 개발은 물론 지역 사회 발전에도 기여하는 것이 목표다. 

우리나라의 교육열은 세계 으뜸이다. 그럼에도 의무교육조차 받지 못하는 계층도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엘리트교육을 중심으로 한 학교 교육에만 열중할 것이 아니라 교육 기회를 얻지 못하고 있는 소외계층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이유다. 정상적인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들도 지식기반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지역 사회 공동체를 살리는 교육정책이 요구된다는 의미다. 특히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직업교육이나 세대 간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평생교육 관련 정책들이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한 시점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울산에 설립된 평생교육기관 중 정상 운영되는 곳은 전체의 절반도 안 된다는 소식이다. 지자체의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하거나 대부분 영세해 자생력을 갖추지 못한 탓이라고 한다. 더 큰 문제는 정상 운영되는 평생교육기관의 수도 2018년을 정점으로 크게 줄었다는 데 있다. 총체적인 위기를 노출하고 있는 셈이다. 울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이 지난해 10월부터 12월에 걸쳐 울산시 평생교육기관 실태를 조사해 내놓은 결과는 실망을 금치 못한다. 

알다시피 평생교육법이나 다른 법령에 근거해 설립되는 평생교육기관은 주로 지자체 보조금 사업으로 운영되는 만큼 정상 운영 기관 수가 감소한다는 것은 평생교육 사업이 지자체의 관심에서 그만큼 멀어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제 2021년 말 현재 울산에서 정상 운영 중인 평생교육기관은 201곳이다. 10년 전인 2012년의 187곳보다는 늘었지만, 2015년 267곳, 2018년 312곳에 비해서는 급감한 수준이다. 이런 탓에 2021년 기관에서 운영 중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수는 총 4,256개에 그쳤다. 이는 2012년 4,915개보다 적고, 2015년 5,321개와 2018년 1만 2,026개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쪼그라들었다. 이런 인해 울산의 평생교육 학습자 수도 10년 전인 2012년 연간 39만 2,074명에서 2015년 44만 6,354명에 이어 2018년 78만 7,216명으로 치솟았으나 지난해에는 25만 2,836명까지 추락했다. 3년전에 비해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으니 심각한 수준이라 할만하다. 그나마 지난 10년간 평생교육기관의 수와 개설 프로그램, 학습자 수가 급등락하는 상황에서도 '문화예술' 분야에 쏠린 프로그램 선호도는 변함이 없었다는 것이 다행이라면 다행이다. 전체 대비 문화예술 프로그램 비율은 2012년 62.4%, 2015년 51.6%, 2018년 75.8%, 2021년 50.6%로 단연 1위였다. 다른 프로그램 비율은 지난해 기준 인문교양 25.8%, 직업능력 12.4%, 기초문해 5.6%, 학력보완 3.4%, 시민참여 2.2% 순이었다. 이같은 현상은 평생교육기관 운영 주체와도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울산은 평생교육법에 근거한 국가나 지자체가 8곳, 학교 및 부설 4곳, 문화센터 10곳, 시민사회단체 1곳, 교육산업시설 2곳으로 파악됐다. 기타법령에 근거한 기관은 복지관이 58곳으로 가장 많았고, 주민자치기관 30곳, 도서관 28곳, 직업훈련기관 17곳, 문예기관 15곳, 박물관 5곳, 시민사회단체 5곳, 청소년시설 4곳, 여성기관 3곳, 다문화 시설 2곳, 기타 9곳 순이었다. 운영 주체의 편의와 유형별 프로그램의 인기도가 일부 프로그램의 편중 현상을 부추기는 경향도 있다. 시대적 요구에 걸맞은 운영과 프로그램의 다양성이 필요해 보인다. 

울산은 광역시이지만 평생교육 여건이나 투자 수준은 다른 도시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게 현실이다.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도시 품격을 올리는 평생교육사업에 지역 정치권은 물론 각계의 관심이 요구된다. 무엇보다 국가나 지자체의 예산을 지원받는 사업의 특성을 제대로 살려 평생교육의 활성화를 꾀하려는 지자체장의 실천의지가 중요하다 하겠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