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로 인해 귀농 귀촌 바람이 불고 있다는 소식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여파, 농촌에 대한 관심 증가, 도시주택 가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때문이다. 특히 취업난으로 농업에서 기회를 찾는 사람이 늘었다는 점과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도 귀농 귀촌을 증가시킨 요인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최근 통계청의 2021년 귀농·어·촌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 가구가 전년대비  14.9% 증가한 1만4,347가구, 귀어 가구가 26.5% 늘어난 1,135가구, 귀촌 가구는 5.3% 증가한 36만3,397가구로 역대 가장 많았다. 귀농, 귀어 가구는 농업, 어업에 종사하기 위해 동 지역에서 읍·면 지역으로 이동한 가구다. 귀촌 가구는 읍·면 지역에 새로 집을 장만했지만 농사 등은 짓지 않는 가구다. 

 울산도 예외가 아니다. 지난해 귀촌 인구가 402명으로 전년 302명보다 100명 정도 증가했고, 귀어 인구는 8명에서 17명으로 확대됐다. 귀촌 인구 증가 비중은 33%로 전국에서 최대폭이다. 귀어 인구도 수적으로는 미미하지만 비율로 따지면 두 배 이상 늘어났다. 이처럼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는 것은 소멸위기를 맞고 있는 농업·농촌에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또 농촌 집값이 도시보다 저렴하고 코로나19에 따른 고용 악화에도 젊은층 일자리 수요는 여전히 많은 점도 청년을 모이게 하는 요인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기대와 달리 현실은 그리 만만치 않다는 점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귀농 귀촌 2~3년 차가 되면 가진 돈은 줄고, 수입은 생각처럼 못 미치고, 현지인과의 갈등도 커지는 등 악재가 겹치는 게 사실이다. 결국 30% 이상이 5년 이내에 도시로 다시 발길을 돌리게 되는 경향이 짙다. 게다가 부부의 견해차로 갈등을 빚거나 부부싸움이 잦아지면서 '역귀농'의 수순을 밟는 경우도 허다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고 보면 가벼이 넘길 일은 아니라고 여겨진다.

 무엇보다 귀농·귀촌인들의 시행착오를 줄이고 지역에서 정착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들을 세밀하게 검토해야 할 것이다. 농촌을 향한 청년층의 관심은 영농·정착 지원 사업 확대 등 정책 효과가 컸다는 게 정부 진단이다. 따라서 귀농·귀촌인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주택문제와 교육, 의료인프라 확충 등을 위해 중앙정부와 각 지자체가 적극 나서야 한다. 최근 영농 접근성을 높여 호응을 얻고 있는 '농촌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 등을 대폭 확대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귀농·귀촌·귀어인들이 지역에 현실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하겠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