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 전경. ⓒ울산시

 

울산지역 지자체들이 차기 금고 은행 지정 절차에 돌입했다. 


 올해 말 계약 만료를 앞둔 울산 중구·동구·북구·울주군 등 4개 기초자치단체가 향후 3년 동안 금고를 운영할 금융기관 공모에 들어간 상황. 


 하지만 올해는 시중·지역은행 간 눈치작전이 치열했던 예년과 다른 기류가 감지된다는 게 금융가의 대체적인 관측. 


 급변하는 디지털 금융환경 속에서 지자체 금고 운영에 따른 '실익'이 크게 없다는 판단에 금융권의 관심이 저조한 것이란 설명이다. 


 올해 12월 31일 현 시금고 약정 기간이 만료되는 울산지역 지자체 가운데, 울주군이 가장 먼저 차기 금고 지정 계획을 지난 4일 공고, 23일 제안 신청을 마감했다. 


 하지만 금고 지정 제안 신청에 나선 은행이 1곳에 불과해 울주군은 조만간 재공고를 할 것으로 알려졌다. 


 북구도 지난 23일 금고 지정 신청서 및 제안서 접수를 받은 결과, 2곳 이상 공모라는 요건에 못미쳐 9월 2일까지 재공모하고 있다. 


 중구도 앞으로 3년 동안 구 금고를 운영할 금융기관 지정 절차에 들어갔다.
  9월 6일과 7일 받은 제안서를 바탕으로 서류 및 면접 심사, 금고지정심의위원회의 심의·평가를 거쳐 오는 10월 초쯤 구 금고를 지정할 계획이다.


 동구도 차기 금고 지정 계획을 곧 공고할 예정이다. 
 이들 지자체의 금고 지정 신청 자격은 '은행법' 제2조에 따른 은행으로 울산 중구에 영업점(지점)을 둔 금융기관이다.


 평가 항목은 △금융기관의 대내외적 신용도 및 재무구조의 안정성 △해당 지자체에 대한 대출 및 예금금리 △지역주민 이용 편의성 △금고업무 관리능력 △지역사회 기여 및 지자체와의 협력사업 등을 중점적으로 살핀다. 


 이처럼 울산 각 지자체 마다 금고 지정 절차를 잇따라 밟고 있는 가운데, 올해는 금고 선정에 영향을 미칠 이슈라든지, 은행 간 치열한 눈치싸움을 찾아 보기 힘들다는 게 금융가의 전언이다.


 지난해의 경우 녹색금융과 지역 재투자와 같은 평가 요소 반영이 크게 이슈화됐지만, 이번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사태에 따른 에너지 공급망 위기로 인해 탈석탄 및 신재생에너지 투자를 전면에 요구하기가 여의치 않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실제 지난해 금고를 지정한 울산시교육청은 '금고 지정 및 운영 조례'에 미래세대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후위기에 대비해 평가기준으로 △탈석탄 선언 실적△녹색금융 추진 실적△기후위기 교육 지원 실적 등을 새롭게 반영, 금고를 지정했다.


 울산 남구는 지역재투자 실적을 금고 지정 평가에 포함시키는 내용의 규칙 개정으로 지역 내 자금공급, 중소기업 및 서민 대출, 금융인프라, 지역금융 지원전략 등 금융위원회에서 발표하는 '지역재투자 평가결과'를 비교·배점했다. 


 또 예년같으면 지자체 금고 유치 및 사수 작전으로 은행간 눈치싸움이 한창일 때이지만, 올해는 잠잠하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핀테크 및 IT 등으로 변화하는 금융 환경에서 지자체 금고 운영이 더 이상 수익을 안겨주는 곳간이 아니기 때문이란 부연이다. 


 울산의 한 은행 관계자는 "한때는 '쩐의 전쟁'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은행들이 각 지자체의 운영자금인 금고를 유치하기 위해 출혈경쟁 양상을 보였지만, 관리 책임은 커지고 잠재 고객 확보 효과는 없어지는 등 지자체 금고 운영에 따른 이해득실에서 수익이 크지 않아 갈수록 지자체 금고에 대한 관심이 저조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하반기 차기 금고 지정에 나선 울산 지자체 4곳의 현재 금고는 농협은행이다. 
 이 4곳 외 울산시교육청과 남구는 지난해 각각 4년, 3년 기간의 금고 은행을 선정했고, 울산시는 내년에 계약 만료에 따른 금고 공모에 들어갈 예정이다.  김미영기자 lalala4090@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