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 앞바다 동해 가스전에 1조 원을 투자해 화력발전소나 국가산단 등에서 발생한 탄소 연간 40만톤 저장 규모의 인프라 구축 사업이 추진된다.

일단 산업통상자원부가 전국 시·도를 대상으로 사업 공모에 들어갔는데, 울산시도 지난 21일 사업 유치계획서를 제출했다.

산업부의 이번 '동해 가스전을 활용한 탄소 포집·저장(CCS:Carbon Capture Storage) 중규모 실증 기반 구축 사업'은 총사업비만 1조원이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다.

산업부가 주관하고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수행하는 이번 공모사업은 약 200만톤으로 잡고 있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와 6,000만톤으로 예상하는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LEDS) 실현을 최종 목표하고 있다.

현재, 노르웨이, 북미 등 해외 선진국은 지난 1990년대 북해 가스전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대염수층에 저장하거나 석유회수증진(EOR)기법으로 이산화탄소를 활용하는 탄소 포집·저장(CCS)사업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이번 공모사업과 같이 기존 폐쇄된 가스전을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것은 세계 최초 적용 사례다.

대염수층이란 염분을 지닌 지하수가 존재하는 지층으로 오랜시간 보존된 염수에 탄소를 용해해 저장하는 방법이다.

또 석유회수증진(EOR:Enhanced Oil Recovery)은 원유를 채굴할 때 압력이 떨어져 채굴량이 감소하면 물이나 가스를 주입해 생산량을 늘리는 공법을 말한다.

이번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실증 인프라 구축은 산업체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대기에 방출하기 전 분리·포집하는 단계를 거쳐 포집된 탄소를 액화시켜 파이프라인이나 선박으로 저장소로 이송하는 단계에 이어 이송된 탄소를 해상 지하구조에 저장하는 시설까지 갖추게 된다.

사업 규모는 동해가스전 고갈 저류층에 연간 40만톤, 향후 30년간 총 1,200만톤의 탄소를 저장하는 실증 인프라(R&D 포함)를 구축·운영하는 것으로 사업기간은 오는 2024년부터 2030년까지 7년이다.

인프라 구축은 공모 선정된 지자체가 탄소 발생원인 기업체를 확보해 탄소 포집, 수송, 저장, 모니터링까지 수행해야 한다.

이번 사업은 플랫폼인 동해가스전의 위치나 실증 인프라 구축 비용, 탄소 발생원 확보 등의 여건을 고려할 때 울산이 가장 유리한 조건이다.

그런 만큼 공모 선정이 유력한 상태인데, 이달 말까지 진행되는 현장 확인 과정에서 울산의 수소산업과 연계해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압축·정제·탈수하는 복합터미널 구축, 액화탄소를 송출시스템을 통해 파이프라인으로 동해가스전 저장소까지 이송하는 절차까지 실증 인프라 구축의 최적지라는 점을 집중 부각할 예정이다.

울산시는 이번 공모 사업과 관련해 지리적 접근성, 사업 경제성 등 지역의 강점을 고려해 공모에 참여했지만, 일부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제기된 우려사항은 고압의 탄소 포집·저장으로 인한 지진 위험성과 저장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누출로 인한 환경 피해 가능성인데, 울산시는 그동안 이러한 문제점에 관련, 수차례 안전성 관련 전문가 회의를 거쳐 의견을 수렴했다.

시는 특히 이 같은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이번 공모사업에 선정된 지자체에 탄소 포집·저장(CCS) 연구개발(R&D)과 안전성을 검증할 국책센터를 함께 구축해 줄 것을 건의해 산업부로부터 긍정적인 회신을 받았다.

시는 이번 공모 사업에 선정될 경우 총사업비 약 1조 원 규모의 기술개발과 기반 구축을 통해 탄소 포집·저장 산업과 이산화탄소 자원화 등 연계산업 분야의 신산업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향후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자체 선정을 위한 평가 절차에 적극 대응해 울산시가 반드시 이번 공모사업에 선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최성환기자 csh9959@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