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변종수 울산 개인택시 기사
변종수 울산 개인택시 기사

인간도 하나의 살아있는 동물이다. 움직여야 먹이 사냥을 할 수 있듯이 살아있는 모든 물체는 소통이 이뤄져야 활동을 할 수 있다. 인류 문명도 이동 수단을 통해 발달해 왔다. 그 편리한 만큼이나 인간을 위협하는 것 역시 문명의 이기(利器) 때문이다. 산업의 발전도 물류수송수단 없이는 이뤄질 수 없는 구조다. 그래서 막대한 재정을 투입해서 교통인프라를 구축했으면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조건과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안전이라는 이유 때문에 그 효율성은 떨어지고 재정적 손실과 고통은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여기서 안전이 중요하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사실이다. 

때론 필요 이상의 교통통제를 하게 되면 위험보다 더 큰 국민적 불이익과 불편함이 초래될 수밖에 없다. 한 예로 울산 남구 삼호로 시영아파트 앞 삼거리에 옛날 보행자 사고가 한 번 났다고 해서 비보호를 없애고 고정신호로 바꿔 놓았다. 이곳은 전방이 약 200m 정도 확 트인 곳인데도 별도 좌회전차로가 없어 1차로 고정신호에 갇혀 꼼짝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신복로터리에서 남산로로 밀려오는 수많은 차들이 위험을 무릅쓰고 차로 변경하느라 진땀을 흘린다. 몇 번이나 관계 당국에 비보호 변경을 요청했으나 전례를 들먹이며 불허하고 있다. 

또 시내 대로변 곳곳에는 중앙선에 플라스틱 펜스가 설치돼 보행자 신호와 좌회전 신호에도 제때 유턴을 할 수 없어 좌회전의 정체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런 펜스는 오직 무단횡단 방지를 위한 명분이지 차량의 월선 방지에는 전혀 방호력이 없는 것이다. 무분별하게 설치된 펜스가 곳곳마다 부서지고 널브러져 그 모습이 흉물스럽기만 하다. 전임 박맹우 시장 때 시내 곳곳의 플라스틱 유도봉이 때가 묻고 넘어지고 보기 좋지 않다고 해서 전부 철거한 적이 있다.

또 민식이법 제정으로 천문학적 세금을 쏟아붓고도 이를 못 믿어 5030이란 제도로 기존 주행속도마저 하향시키고 있다. 근래 와서는 우회전 통행에도 여러 통제 조건을 달고 있다. 이런 조치들은 오직 안전이라는 이유만 내세우면 변명이 먹히고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누구든 이의를 제기하면 뭇매를 맞을 지경이다. 멀쩡한 도로에 통행 제한의 대못을 박아 놓고 언제까지 교통지옥 속에 갇혀 살아야 할지 운전자들의 답답한 마음은 보상받을 길이 없다. 역사를 봐도 적대국을 영원한 원수로만 살 수 없듯이 이제라도 화해하고 소통해야 한다.

교통도 과거사 때문에 언제까지 대못을 박아 놓을 수는 없는 것이다. 사고는 대체로 운전자와 보행자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고 있다. 민식이법으로 많은 운전자들을 중범죄자로 만들고 과태료를 물게 해도 운전자의 실수까지는 담보할 수 없다. 결국 카메라는 사후 증거용으로 쓰일 뿐 근본적인 예방책이 될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완벽한 안전조치를 위해 학교 주변 30㎞ 지역에 한해 간이방지턱 설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무의식중에도 방지턱을 넘는 순간 자동으로 속도제어를 할 수 있어 실수가 용납될 수 없는 구조다.

그런데 이와는 대조적인 곳이 고속도로다. 대형 사고가 끊이지 않지만 지금까지 속도를 하향시킨 적은 없다. 원활한 물류 수송에 따른 국가적 이익이 더 크기 때문이다. 세상을 좀 크게 보면 현대문명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희생 없이는 오늘날 우리의 삶이 이렇게 편리해지지는 않았을 것이다. 앞으로 스카이택시나 자율주행차가 새롭게 선보인다고 해도 고장이란 변수는 막을 수가 없다. 우리가 무언가 편리를 추구할수록 그에 수반되는 것이 위험 부담이다. 이것을 알면서도 이용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 세계다. 인간이 그 편리함을 공유하려면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가 안전이란 공동책임의식을 가져야 한다. 안전만 내세워 발목 잡을 것이 아니라 그 혜택과 효율성도 충분히 인정할 수 있는 상호 정책이 절실히 필요하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