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울산쇠부리소리. 북구 제공

울산시의 무관심으로 일부 명맥이 끊어질 위기에 처한 울산의 무형문화재 전승·보존을 위해서는 재정지원 확대와 체계적인 육성책이 뒷따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울산연구원은 31일 연구보고서를 통해 울산 무형문화재 보존을 위한 이 같은 전승 지원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김광용 울산연구원 박사

보고서에서 김광용 박사는 문화재청의 '제2차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 기본계획(2022~2026)'이 시행되면서 지자체별로 무형문화재 전승 지원을 위한 기틀이 마련됐지만, 울산의 경우 전승자 고령화 및 이수자 부족으로 전승이 단절될 수 있는 위기에 처했다고 우려를 표했다.
 
지난해 기준 울산시 지정 무형문화재는 제1호 장도장부터 제7호 울산쇠부리소리까지 7개가 있었으나, 제5호 전각장이 거주지 이동의 사유로 지정 해제되며 6개 종목 만이 남은 상태다.
 
김 박사에 따르면 이 마저도 모두 만 70세 이상으로 고령화가 심각하고, 전승교육사와 전수장학생 등 전수교육생이 2명에 그쳐 전승 단절 위기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그는 연구를 위해 울산 무형문화재 및 관련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전승자 지원 확대, 전수 프로그램 강화, 신규종목 발굴, 관리체계 강화'와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해 전승 지원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설문 결과, 전승자 지원 확대 전략 중 전승 지원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32.6%로 가장 높았고, 전승자 복지지원 기반 마련이 24.8%로 뒤를 이었다. 
 
이에 대해 김 박사는 관련 조례 개정을 통해 울산시가 지원하는 전승 지원금에 5개 구·군의 전승지원금을 매칭하는 지원 근거를 마련해 안정적인 전승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관리체계 강화를 위한 '무형문화재 관리 전담 조직 구축'과 전수프로그램 강화를 위한 '전승자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원', 신규종목 발굴을 위한 '무형문화재 지정 대상자 컨설팅 교육' 등을 우선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지역 무형문화재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 지원이 필요하므로 여러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관계기관 협력체계 구축 및 운영 활성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도입기(2023~2024년), 성장기(2025~2026년), 성숙기(2027년~)로 이어지는 전승 지원 단계별 로드맵을 통해 울산시 무형문화재 특성에 맞는 방향으로 지원이 이뤄져야 하며, 도출된 전승 지원 방안을 중심으로 전승 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박사는 “무형문화는 급격한 경제 성장 이면에 소멸 위기라는 중차대한 시기를 맞고 있다"며 “연구를 통해 울산 무형문화재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확대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희망했다.  최성환기자 csh9959@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