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득수준 향상과 의학 발달로 평균수명이 늘면서 고령화는 이제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되고 있다. 더구나 서구사회와 달리 단기간에 급격한 고령화를 겪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노인 상당수가 빈곤에 시달리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평생을 일하고도 정작 자신의 노후 준비에는 소홀해 안락한 노후는커녕 은퇴 후에도 생활전선으로 내몰리고 있다. 


 이처럼 제대로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맞는 고령사회는 국가나 개인 모두에게 재앙일 수밖에 없다. 노인 빈곤·고독사 등 노인 문제가 갈수록 증가함으로써 사회문제로 비화되고 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정부와 지자체가 나서 노인복지 확대 정책을 우선순위로 시행하고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점도 부인하지 못한다. 지난 2020년 국내 네 번째로 WHO(세계보건기구) 고령친화도시에 가입한 울산시도 이와 별반 다를 바가 없다. 이제는 진정한 고령친화도시로 거듭나야 한다는 전문가의 진단이 나온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울산연구원이 '제2기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추진방안 연구'의 일환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만 봐도 그렇다. 

 

노년층 사회 구성원으로서 적극적 역할 가능한 고령친화도시 조성


 울산의 주력산업 발전을 이끈 주역인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와 함께 펼쳐지고 있는 고령사회에 걸맞은 노인친화 정책 고도화와 고령문화 인프라 확대에 투자를 늘려야만 한다는 제안은 여느 때보다 강한 경고의 메시지로 읽힌다. 특히 울산시가 WHO 고령친화도시에 가입한 이후 1기 계획(2020~2022년)에서는 고령사회 준비 단계로써 물리적 환경 등 전략과 기반 마련에 중점을 뒀다면, 이번 2기(2023~2027년)는 고령사회 진입 단계로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초점을 두고 고령자들이 노후 문화를 누릴 수 있는 인프라 확대에 주력해야 하는 게 시급한 과제임이 드러났다. 우선 기존의 노년 세대에서 예비 노년층까지 범위를 넓혀 실태와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울산시가 나아가야 할 정책 방향성이 담겨야 하겠다. 


 아울러 고령친화도시 구현을 위해서는 WHO의 가이드를 반영한 단계적 전략과 꾸준한 모니터링을 통해 1기부터 시행 중인 사업의 안정적 추진과 내실화를 이뤄야 당초 바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주장은 눈여겨 봄직하다. 이는 울산의 지역적 특성과 차별성을 살리면서 중앙과 지방의 정책 방향성을 확보하고, 계획의 시행 과정과 결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체계가 우선 구축돼야 가능하다는 얘기다. 그래야만 고령친화도시에 대한 이해가 전 시민으로 보편화되고, 고령자를 비롯한 다양한 생애주기의 시민들이 자유롭게 지역사회에 참여하고 활동하면서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는 사회 환경이 조성될 수 있어서다.

 

지역적 특성 살린 단계적 전략과 꾸준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돼야


 울산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는 단계이자 제3기 실행 계획이 수립되는 시기인 최종 3단계(2028년~2032년) 계획도 주목된다. 자체적으로 고령친화 환경이 성숙되고 고도화되면서 울산형 고령친화도시의 위상이 전국적 수범사례가 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게 핵심이다. 그러고 보면 정말 꼼꼼하게 살피고 실효성을 따져봐야 할 사안이 한두 개가 아니다. 울산시가 지금부터라도 고령사회에 발맞춰 노인이 행복한 울산 만들기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은 분명하다. 이번에 실시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고령친화도시 청사진을 조속히 세우고 고령 친화적 기반시설을 확고히 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해 울산연구원의 이번 제언은 실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점을 깊이 새겨 볼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고령친화도시 조성은 시민 개개인이 독립적이고 활동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사회적 환경과 기회를 창출하는 데 의의가 있다. 노년층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적극적인 역할과 활기찬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주거안정과 인식개선부터 도모해야 한다는 뜻이다. 울산형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통해 지속적으로 안정화 및 고도화시키고, 기존에 없던 새로운 고령친화적 가치와 문화가 창출되고 고령친화 산업이 다양한 영역에서 파급되도록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