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중구의회, 지역 특성 반영 맞춤 조례 제정

2025-10-26     김수빈 기자
왼쪽부터 문기호, 강혜순, 안영호 의원.

 

울산 중구의회가 세대별 특성과 지역 여건을 고려한 조례 제정을 잇따라 추진하며 주민 밀착형 의정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이번 회기에서만 △노인 평생교육 지원 △청소년 중독 예방 △도시재생사업 사후관리 등 삶의 질 향상과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한 3건의 주요 조례가 잇달아 통과됐다.

디지털기기 등 노인교육 지원

 먼저 문기호 의원이 대표 발의한 '울산광역시 중구 노인교육 지원에 관한 조례'는 급속히 진행 중인 고령화 사회 속에서 노년층의 자기계발과 사회참여를 돕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또 구청장이 노인교육의 방향과 목표, 사업 내용을 담은 지원계획을 수립하고 전문인력 양성·교재개발·상담·홍보·행사 지원 등을 추진하도록 규정했다.

 중구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5%로, 울산 5개 구·군 가운데 고령화율이 가장 높다. 학성동(29.6%)과 중앙동(33%) 등 일부 지역의 경우, 30%를 넘어서는 등 노인 맞춤형 정책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문 의원은 "무인민원발급기, 키오스크, 모바일 행정서비스 확대로 인해 노년층이 디지털 환경에서 소외될 우려가 있다"며 "이번 조례가 종합적 평생교육 지원 체계 발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청소년 각종 유해 중독 예방

 이어 강혜순 의원이 대표 발의한 '울산광역시 중구 청소년 중독 예방 조례'는 청소년들이 마약·도박·주류·담배·인터넷·스마트폰 등 각종 유해 중독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례에 따라 구청장은 청소년 중독 예방과 치유, 협력체계 구축, 행정·재정적 지원 방안 등을 담은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실태조사를 통한 정책 수립과 예방 활동을 추진한다.

 최근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도박으로 검거된 청소년 수가 2022년 74명에서 2023년 559명으로 급증했으며, 청소년 마약사범 역시 1년 새 4배 가까이 늘어나는 등 사회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강 의원은 "청소년 도박과 마약, 스마트폰 과의존 등은 이미 심각한 사회문제로 자리잡고 있다"며 "이번 조례를 통해 중독 예방 교육과 홍보, 실태조사 예산 확보의 근거를 마련하고 건강한 성장환경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도시재생사업 사후관리 제도화

 또 안영호 의원이 대표 발의한 '울산광역시 중구 도시재생사업 사후관리 조례'는 도시재생사업의 성과를 일회성으로 끝내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확산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했다.

 구청장이 도시재생 완료 지역 효과가 유지되도록 사후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주민공동체 운영, 성과 점검, 마을공동체 활성화, 상권 활성 및 일자리 창출 등을 예산 범위 내에서 지원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안영호 의원은 "도시재생사업의 성패는 사업이 끝난 뒤에도 주민과의 공감대가 얼마나 지속되느냐에 달려 있다"며 "이번 조례가 주민 주도의 도시재생 모델을 정착시키는 토대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수빈기자 gpfk2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