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분산에너지특구 지정 보류 '재검토' 하라"
울산상의 성명서 내고 유감 표명 "산업 구조 전환 현실적 한계 간과"
울산상공회의소가 정부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과정에서 울산시의 LNG 기반 모델이 보류된 것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하고, 재검토를 촉구했다.
울산상의는 이번 결정이 산업 현장의 현실과 국가 에너지전환 전략의 균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판단이라며 산업 경쟁력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울산상의는 6일 '울산 분산에너지 특회지역 보류 결정에 대한 유감 및 재검토 촉구' 성명서를 통해 "울산은 국내 최대의 LNG 생산·공급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으며, 석유화학·비철금속 등 전력 다소비 산업이 밀집한 대표 산업도시임에도 정부가 재생에너지 중심의 정책 기조만을 이유로 울산 모델을 보류한 것은 아쉬운 결정"이라고 밝혔다.
울산시는 이미 '분산에너지 활성화 조례'를 제정하고 '분산에너지지원센터' 설립 및 지역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완비했다.
상의는 특히 울산이 제시한 LNG 기반 분산에너지 모델이 "100MW급 AI 데이터센터 등 첨단산업단지에 안정적 전력공급이 가능한 즉시 실행 모델로, 정부의 AI 국가전략을 뒷받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울산상의는 이번 보류 결정이 산업 구조 전환의 현실적 한계를 간과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석유화학·자동차·비철금속 산업이 각각 글로벌 공급 과잉, 전동화 지연, 환경 규제 강화로 경쟁력을 잃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3년간 7차례(약 68%)에 걸친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이 기업 부담을 키웠다고 설명했다.
울산은 산업용 전력 비중이 80%를 넘는 만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이 기업의 전력비 절감과 산업경쟁력 회복의 현실적 해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AI 산업 확산으로 전력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전국 송전망 확충이 지연되는 점도 문제로 꼽았다. 울산은 이미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가 추진 중인 100MW급 AI 데이터센터(남구 황성동, 2025년 9월 착공) 유치를 완료했으며, LNG 분산전원을 통해 안정적 전력공급을 실증할 수 있는 유일한 도시라고 강조했다.
상의는 "이는 단순한 지역사업이 아니라 국가 AI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 인프라"라고 덧붙였다.
울산상의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LNG 열병합발전(500MW 이하) 등 다양한 에너지원 활용을 허용하고 있음에도, 정부가 재생에너지 위주로만 정책을 운용하는 것은 법 취지에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또 2025년 APEC 경주 선언문에서 천연가스와 LNG를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이며 경제적인 에너지원'으로 명시한 점을 들어 "국제 흐름과도 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윤철 상의 회장은 "정부가 울산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보류 결정을 면밀히 재검토하고, 다양한 에너지원의 조화로운 활용을 보장해야 한다"며 "AI 산업 전력공급 기반 확보를 위해 울산 모델을 조속히 승인해야 국가 균형발전과 산업경쟁력 강화라는 시대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밝혔다.
끝으로 "울산은 지난 60년간 국가 산업화를 견인해 온 경제 중심지이자, 탄소중립과 디지털 전환 시대의 새 에너지 허브로 도약해야 한다"며 "정부가 이번 결정을 산업 현실에 맞게 재검토해 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박인섭기자 inseob8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