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이가 책을 읽지 않는다고 야단인 엄마가 많다. 그런데 가만히 이야기를 들어보면 대부분 국어 성적을 의식한 걱정이다.
 이런 엄마들을 만나면 안타깝다. 왜 책읽기를 성적 올리기 수단으로만 여기는 걸까. 책읽기는 성장기 아이들이 반드시 섭취해야 할 필수 영양소와 같다. 줄거리를 잽싸게 낚아채는 책읽기가 아니라, 정서로 천천히, 제대로, 골고루 읽어야 한다.

 그럼 책 좀 본다는 아이들의 경우는 어떨까.
 서가로 변해버린 거실에는 텔레비전 대신 책들이 좌르르 꽂혀있고 참 보기도 좋다.
 그런데 자세히 보면 대부분 이름만 들어도 알 만한 출판사 전집 시리즈. 알고 보니 모두 한 가족들이다. 한 권 빼들고 보면 아뿔싸! 몇 년째 손길 한 번 닿지 않은 새 책이다. 결국 위 경우와 별반 다를 게 없다. 그래서인지 책읽기 교육이 어렵다고들, 막막하다고들 한다.

 제대로 된 책읽기 교육은 어떻게 해야하는 걸까.
 우선 균형 있는 책읽기를 해야한다.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얘기해보자면 우선 많은 학부모들이 권장도서를 참고한다. 그런데 이 권장도서만 해도 학교, 독서 토론 모임, 신문사, 도서관 등 곳곳에서 선정한 책 목록이 빼곡해 도무지 어떤 책을 읽어야 할지 막막하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 책들은 다 좋은 책들이다. 하지만 다 읽을 순 없다. 특히 이런 목록들의 특징은 문학 작품이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비슷한 장르를 너무 많이 읽히는 건 좋지 않다.
 장르마다 아이들이 배울 점은 각각 다르다. 가령 창작동화에서 잔잔한 감동을 얻는다면, 위인전에서는 어려움을 극복한 선배들의 지혜와 위대함을 배운다. 그러니 무턱대고 추천 혹은 권장 도서를 맹신하지 말고 부모님이 책을 먼저 본 후 선정해 주자. 

 또 하나 염두할 것은 책읽기 수준은 연령이나 학년에 비례하는 것이 아니란 점이다. 자존심이 상하더라도 현재 내 아이가 어느 정도 받아들이는가부터 알아야 한다.
 그렇다면 내 아이가 글을 잘쓰게 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

 사실 글을 잘 쓰고 싶다는 욕망은 누구에게나 있다. 자연스럽고 매끄러운 글 한 편으로 상대를 감동시킬 수 있다면 얼마나 큰 기쁨일까. 게다가 요즘엔 논술 비중이 높아지면서 글쓰기에 대한 관심이 부쩍 커진 듯하다.

 그런데 부모님들이 이 글쓰기와 논술을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무턱대고 논술에 접근하려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책읽기도 부족하고 기본적인 글쓰기 실력도 갖추지 않은 채 일단 들이대고 보는 경우다.
 논술은 기초가 튼실해야 한다. 책읽기는 물론이고 신문 사설이나 정치 경제 시사 문제로도 시야를 넓히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초등학생의 경우 이 논술은 책읽기와 다양한 장르의 글쓰기만으로 충분한 기초 작업이 된다. 앞서 언급한 다양한 책읽기로 그 절반이 채워졌다면 다양한 글을 자주 써봐야 한다.

 또 좋은 글은 좋은 문장에만 있지 않다. 글쓴이의 생각의 깊이, 진실성과 성실성에 있다. 이처럼 좋은 글은 대단한 무엇을 요구하는 게 아니라, 세상을 바라보는 남다른 안목과 진실이다. 자신의 생각을 솔직하게 쓴 글이 읽는 이를 감동시킨다. 가식으로 가득 찬 글은 아무런 힘이 없다.

 백일장 심사를 하다보면, 어른이 손 댄 작품인지 아닌지 금방 표가 난다. 잘 쓰고 못 쓰고의 차이가 아니라 아이의 눈높이와 순수성이 있고 없고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잘 쓴 글은 언제나 모자란 듯, 어색한 듯 하지만 입가에 웃음을 자아내게 하는 그 무엇이 있다. 읽는 이를 웃고 울게 하는 힘도 갖고 있다. 지식으로 포장되어 있고 어려운 문장으로 가득 찬 글을 읽고 싶어 하는 사람은 없다.

 한 송이 꽃에서 우주를 보는 아이, 시골 들녘의 바람이 달다고 말할 줄 아는 아이, 눈물로 기쁨을 맞이할 줄 아는 아이로 키우려면 책을 읽혀야 한다. 그리고 그 감동을 글로 표현하도록 하길 바란다. 진짜 예쁜 아이는 그런 아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