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가 후보직을 전격 사퇴했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에게 후보단일화를 위한 최종 담판을 제의할 것이라는 무성한 관측을 깨고 스스로 물러나는 깜짝 선택을 했다. 대선 출마를 선언한 지 두 달여 만이다. 이로써 대권가도에 기세 좋게 진입했던 '안철수 태풍' 자체는 일단 소멸했다. '새 정치'를 향한 그의 정치실험도 마침표를 찍었다.

 안 후보는 대선판에는 오랫동안 뜸을 들이며 매우 더디게 진입했지만, 퇴장할 때는 군더더기 없이 발을 뺐다. 나아갈 때와 물러설 때를 알아야 하는 게 정치인들의 덕목이지만, 실상 이를 실천에 옮기는 정치인은 드물다. 그런 의미에서 '안철수의 퇴장'은 지난해 서울시장 보궐선거의 양보에 이어 다시 한번 신선함을 선사했다고 평가할만 하다.

 특히 안철수 후보의 사퇴는 대선 사상 가장 '추악한 싸움'으로 변질될 우려가 커져만 가던 야권후보 단일화를 극적으로 수렁에서 건져냈다. 안·문 후보 캠프 협상팀의 거듭된 절충실패, 두 후보간 룰협상 담판 결렬에 이어 급기야 양측의 특사까지 동원됐던 단일화 줄다리기는 끝내 접점을 찾지 못한 채 파국의 지경에 이르렀다. 여론조사도 사실상 물건너간 상태에서 두 후보 가운데 한 쪽이 양보할 수밖에 없는 초유의 상황에 봉착했다. 이런 절체절명의 순간에서 안 후보는 '정권교체를 위한 백의종군'을 선택했다. 자신의 모든 것을 걸고 단일화를 반드시 이뤄내겠다는 국민과의 약속을 자신을 '희생'하는 방식으로 구현했다.

 대선 막판까지 유의미한 지지율을 지켜온 후보가 취하기 힘든 선택이었을 것이다. 진영의 논리를 떠나 안 후보의 선택을 평가하는데 인색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다만 안철수, 문재인 후보가 자신들이 목표로 내걸었던 '아름다운 단일화'를 이뤄내는 성숙한 정치력을 발휘하지 못한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단일화 협상과정에서 양 캠프가 서로에게 깊은 불신과 증오심을 드러낸 것도 남은 대선기간 내내 부담으로 작용할 여지를 남겨 놨다.

 문제는 이번 단일화 과정에서 제기된 참정권의 제한이다. 유권자의 선택이 아닌 후보간의 담판은 왜곡된 절차다. 많은 전문가들의 제안대로 결선투표제 도입을 통해 야권후보단일화라는 비민주적, 비상식적 '관행'의 사슬을 끊어주길 기대한다. 우리나라 정치용어 사전에만 있는 야권후보단일화는 제18대 대선이 마지막이어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