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과 동시 구조조정 대상에 거론되는 데 대해 속앓이를 하고 있다. 재무구조 부실에 대한 평가 잣대인 '부채비율'이 현저히 낮은 수준인데도 인위적인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 데 따른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현대중공업의 부채비율은 143%(개별기준)였다. 이에 반해 대우조선해양은 무려 7,308%에 달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달 26일 '제3차 산업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 협의체' 회의에서 조선·해운업종을 우선 구조조정 대상으로 정하고 주채권은행을 통해 조선 3사로부터 자구계획을 받아 집행 상황을 관리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현대중공업은 인력 감축 방안이 포함된 자구계획을 주채권은행들에 제출했거나 준비 중이다.
 하지만 현대중공업은 부채비율이 타 조선업체 대비 낮은 수준인데다, 구제금융을 받지 않았는데도 정부로부터 사업재편은 물론 인적 구조조정 압력까지 받고 있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현대중공업 부채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143%, 연결기준으로 해도 220%다. 7,308%인 대우조선해양과 비교하면 재무상태 심각성 정도는 상당한 차이다.
 현대중공업의 1분기 유동부채비율도 149.9%로 지난해 1분기 대비 12.1%포인트 하락했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현대중공업의 경우, 대우조선해양과 같이 채권단 관리 체제도 아닌데다 정부가 선제적 구조조정을 종용할 만큼 재무구조가 불안한 상황이 아니라는 점을 들어 금융당국의 과도한 요구라는 지적이 나온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대우조선해양이 자구안을 '채권단'에 내는 것과 달리 현대중공업은 '주채권은행'에 낸다고 표현하는 것부터 성격이 다른 것이다"며 "주채권은행은 단순히 돈을 주로 빌려준 은행이라면, 채권단은 부실기업의 경영정상화 여부를 심의하는 곳"이라고 지적했다.
 현대중공업에서도 정부나 주채권은행이 경영에 너무 간섭하는 게 오히려 문제를 키울 수 있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김환구 현대중공업 사장은 지난 23일 산업통상자원부 주형환 장관과의 울산기업체 간담회에서 "부채비율을 우량하게 유지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문제 있는 업체로 취급돼 금감원이나 채권은행으로 부터의 압박이 심각하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도 금융당국의 자구안 요구는 올해 신규수주가 사실상 전무하다는 것 때문이다. 신규수주 부족으로 2018년부터 양사의 일감이 급감하고, 재무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논리에서다.


 업계 관계자는 "신규 수주의 부담은 글로벌 조선사들이 모두 겪고 있는 위기로 현대중공업의 경영부실 문제는 아니다"며  "조선업에 대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하지만, 그렇다고 정부가 일괄적인 잣대로 민간기업에 과하게 자구안을 요구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미영기자 myidaho@ulsanpress.net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