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92년 6월 리우에서 개최된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에서 채택된 기후변화협약으로 온실가스 배출규제가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의 원전산업 육성정책과 2009년 우리나라 최초로 한국형 모델인 'APR 1400'을 아랍에미리트(UAE)에 수출하고, 울산시 울주군 서생지역에 같은 모델인 신고리 3, 4호기가 건설된데 이어 신고리 5, 6호기까지 착공하면서 우리나라에 원전 르네상스 시대가 도래하였다.

 하지만, 2011년 대규모 지진과 쓰나미로 인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태는 방사능 유출로 인한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부각시켰고, 각국의 원전정책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왔다.
 국내에서도 2011년 10월 원전안전관리를 위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출범을 필두로 원자력안전법 개정, 원전감독법 시행 등 정부의 원전 안전규제가 대폭 강화하고 있다.

 또 최근 잦은 지진에 따른 원전 운영의 이상 유무와 고장으로 인한 원자로 정지, 재가동 등 극히 민감한 사안이라 예전에는 공개하지 않았다.
 허나 지금은 원전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언론 등에 제공하고 있다.   

 원자력 발전 사업법인인 한국수력원자력(주)도 후쿠시마 원전사고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안전설비의 추가, 주요설비 내진 보강작업 등 원전 안전성 제고를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난 9월 12일 발생한 규모 5.8의 경주 지진은 월성원전 1~4호기를 정지시키는 사상 초유의 사태를 야기하였고, 원전 지진단층 조사 결과에 대한 논란으로까지 확산시키고 있는 양상이다.
 에너지 자원이 빈약한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높은 전력생산단가와 환경문제, 기후변약협약 등을 고려할 때 화력발전의 한계는 분명하다.

 또 최근 풍력과 태양광발전 등 신재생에너지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신재생에너지가 원자력을 대체하기는 전체 발전용량이 턱 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원전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잘못한 선입견을 바탕으로 무조건적으로 원전을 배척하는 풍토를 바로잡고 원전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정부와 한수원의 전향적인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아울러 원전종사자들도 원전에 대한 일반인들의 과도한 걱정과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시키기 위해 높은 직업윤리 의식을 바탕으로 원전의 안정적 운영을 해야 할 것이다.

 또 국민과의 공감대 형성과 신뢰를 얻는 것이 최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고 각고의 노력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원자력 발전은 안전성과 국민들의 신뢰가 확보되지는 않고는 절대로 지속될 수 없다는 것을 원전 종사자들은 다시한번 다짐을 해야 할 것이다.

 정부가 1970년대 국가경제 발전을 위해 선택할 수 밖에 없었던 원전정책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원전종사자들은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안전은 물론 국민과의 공감대 형성과 신뢰를 득하는 것이 최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원전산업이 침체된 국가경제 발전을 이바지 할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을 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