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들어 중국 시장에서 한국산 자동차 판매가 급감한 것은 사드 갈등에 따른 후폭풍 뿐만 아니라 우리 자동차업계의 경쟁력이 근본적으로 약화한 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8일 한국산업연구원(KIET)이 내놓은 '사드 문제가 자동차업계에 미친 영향과 향후 대응전략 - 2012년 중·일 영토분쟁과 비교 및 시사점 -' 보고서를 보면 중일 영토분쟁 당시인 2012년 9월, 10월, 11월 중국 내 일본 차 판매는 각각 41.1%, 58.0%, 37.0% 빠졌다가 이후 빠르게 회복됐다.
 이에 비해 한국이 사드 문제로 가장 타격을 입은 올해 3월, 4월, 5월 우리 자동차의 중국 내 판매는 각각 52.7%와 65.1%, 65.1%나 급감해 강력한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벌어졌던 2012년 당시 일본 차 판매보다 큰 폭의 감소율을 보였다.

 2016년 7월 8일 한미 양국이 사드 한국 배치를 발표한 후 중국 내 한국차 판매에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롯데그룹이 올해 2월 27일 경북 성주 골프장을 사드 부지로 제공하기로 한 이후 중국의 제재가 강화되고 한국 브랜드 기피현상이 심화했다. 이어 한국차가 중국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받는 상황이 본격화해 3월 7만대, 4월과 5월 각각 5만대 수준으로 판매가 급감하며 2009년 이후 월별 판매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2014년 9%에 달했던 한국차의 중국 시장 점유율도 큰 폭으로 하락해 올해 1월 5%로 떨어졌고, 3월에는 3.4%, 4월과 5월에는 3.0%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차가 이처럼 중국 시장에서 홀대받는 것은 브랜드 이미지에서 일본 차에 밀리는 데다 중국 로컬 자동차의 품질과 안전도가 급격히 상승했기 때문으로 KIET는 분석했다.

 최근 중국 자동차의 가격은 떨어졌지만 품질과 안전도는 크게 높아져 전반적 경쟁력이 큰 폭으로 향상됐다는 평가이다. 또 최근 판매가 급증하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부문에서 중국 업체들이 강세를 보이는 것도 우리 업체들에 위협이 되고 있다. 한국차의 브랜드 이미지가 일본 차에 밀리는 상황에서 중국 로컬 브랜드와 차급·소비층이 겹치며 직접 경쟁하는 상황이어서 큰 타격을 입었다는 것이다.
 2012년 중일 영토분쟁 당시 일본 업체들은 중국 시장 내 판매 감소가 정치적 문제보다 자체 경쟁력 부족에 있다고 보고 현지 모델 개발과 가격 인하 등에 주력한 나머지 경쟁력을 곧바로 회복할 수 있었다는 분석이다. 따라서 한국 자동차 업체들의 뼈를 깎는 노력이 없으면 사드 문제가 해결돼도 중국내 자동차 판매가 이전 수준을 회복하기 어려울 것으로 KIET는 보고 있다. KIET는 한국차 업체들이 △고품질·저가격  △SUV를 중심으로 한 중국 현지에 맞는 차량 개발 △디자인 및 성능 차별화 △새 거래처 확보 등에 나설 것을 제안했다.

 조철 KIET 중국산업연구부장은 "중국 시장에서 한국차 점유율이 급감한 것은 근본적으로 경쟁력이 약화했기 때문"이라며 "중국 시장 점유율을 다시 높이기 위해서는 품질 개선과 가격 인하 등에 나서야 한다"고 권고했다.  김잠출기자 uskjc@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